잉카 문명 신비한 잉카제국 > 초고대문명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초고대문명

잉카 문명 신비한 잉카제국

페이지 정보

작성자 진짜미드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댓글 5건 조회 1,587회 작성일 05-12-20 12:17

본문

잉카문명
사진#01
신비의 잉카문명 '황홀'

"숨겨진 곳은 아름답다. 알 수 없는 것은 신비 롭다.”

페루로의 여행은 숨겨진 곳, 알 수 없는 것을 찾아 떠나는 여행이다. 안데스 산맥에 위치한

페루는 아마존의 열대 우림과 황량한 사막, 거 대한 기암절벽 아래로 펼쳐진 초원등 다양한 자 연의 모습을 간직한 나라다.

자연경관으로만 따지면 칠레나 브라질에 뒤질 지 모르지만 역사의 오랜 수수께끼 잉카문명이 곳곳에 산재해 있어 남미 최고의 관광지로 손색 이 없다. 남미 최대의 제국을 쌓았던 잉카문명 을 비롯해 페루에는 기원전부터 몇개의 고대문 명이 꽃피었다 사라졌다. 이들 문명은 크게 프 리잉카(잉카문명 이전) 와 잉카문명으로 나누어 지고 거기다 잉카제국 멸망이후 스페인 식민시 대 문화까지 곁들여 다양함의 극치를 이룬다.

잉카제국 이전 페루는 해안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프리잉카시대의 유적지로는 북부의 투르 힐요와 하늘에서만 유적지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는 나스카가 있다. 그러나 역시 사라진 잉카의 참모습이 그대로 남아있는 공중도시 마추피추와 쿠스코가 페루 관광의 1번지다. 이들 유적지는 해발 3천m 이상에 위치한 곳으로 한때 1백만명 이나 살았던 전설 속의 도시다.

쿠스코는 페루의 수도인 리마에서 비행기를 타 고 1시간 정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해발 3천 4백m 높이에 위치한 이곳은 독특한 체험을 할 수 있는 곳이다.

쿠스코 공항에 내리면 호흡의 불편이 느껴진 다. 공기 부족 때문에 가슴이 답답하고 사람에 따라서는 심한 두통이나 구토를 일으키기도 한 다. 이른바 고산병 증세다. 고산병은 평소 체력 과는 관계없이 생기는 병이다. 그러나 신기하게 도 페루사람들은 전혀 그런 증세를 느끼지 못하 는 듯 모든 행동이 자연스럽고 편안하다. 첫날 이 가장 힘들고 조금 지나면 적응이 되기 시작 한다.

쿠스코 시내 전경은 한장의 그림엽서다. 공해 없이 청명한 하늘에 피어오른 뭉게구름 아래로 적갈색 지붕의 건물들이 끝없이 펼쳐져 있다.

시내 전경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곳은 삭사이와 만이다. 삭사이와만은 잉카시대 수도였던 쿠스 코를 외부세력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쌓은 요새.
사진#02

사람 키보다 훨씬 큰 거석을 3∼4층 높이로 쌓 아 올려 만들어졌다. 이곳의 돌들은 약 3∼4km

떨어진 곳에서 운반해 쌓아 올린 것들이라고 하 는데 보기에도 어마어마하게 큰 돌들을 어떻게 운반해 왔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더욱이 3백 60톤이나 되는 거대한 바위를 6각, 12각으로 조 각해 정확히 짜 맞춘 그들의 기술은 지금도 불 가사의로 남아있다.

삭사이와만에서 삐삭 방면을 향해 버스로 약 10분 정도 달리면 오른쪽 길옆에 거대한 돌무더 기가 나타난다. 하나의 거대한 돌로 이루어진 이곳은 겐코라고 불리는데 잉카인들의 제단으로 사용되던 곳이다. 얼핏보아 여러개의 돌이 얽혀 있는 것 같은 이곳은 마치 미로와 같다. 돌에 새겨진 모양 하나하나가 태양을 숭배한 잉카인 들의 철학이 담겨져 있다. 야마나 알파카(고산 지대에서 기르는 가축의 일종)를 잡아 제사를 지내던 장소가 아직도 생생히 보존돼 있다.

삭사이와만 곳곳에는 잉카의 자손으로 불리는 케추아족 사람들이 좌판을 벌이고 기념품을 파 는 모습이 보인다. 관광객을 실은 차가 정차하 면 어디선가 달려와 `원달러'를 외치며 창가로 몰려든다. 알파카와 야마를 손에 잡은 허름한 차림의 꼬마들은 기념 사진의 모델이 돼주기도 한다.

잉카 문명의 진수를 볼 수 있는 마추피추는 쿠 스코에서 우루밤바강을 따라서 114km 떨어진 곳 에 있다. 이른 아침 쿠스코에 있는 작은 역을 출발한 관광열차는 안데스 산맥의 허리를 가로 지르며 달려간다. 잠시 눈 돌릴 틈도 주지 않고 쉼없이 그림같고 아름다운 풍경을 쏟아놓는다.

오른쪽으론 만년설을 이불처럼 덮어쓴 베로니카 산이, 왼쪽으론 아마존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우 루밤바강이 펼쳐진다.
사진#03

3시간 반이 지난후 마추피추역에 도착해 다시 버스를 타야한다. 마추피추를 처음 발견한 미국 의 고고학자 이름을 딴 하이렘 빙험 도로라 불 리는 오솔길을 굽이굽이 돌아 올라가면 유적지 저편에 구름을 허리에 두른 높은 산이 한눈에 들어온다. 와이나피추(케추아어로 젊은 산이란 뜻)다. 그 앞에 약간 낮은 산이 마추피추(늙은 산). 바로 그 위에 잉카의 잃어버린 도시가 건 설됐다.

공중에서 본 마추피추는 악어 형상이다. 유적 주변이 5m높이의 두꺼운 성벽으로 견고하게 만 들어진 요새다. 그러나 언제, 누가, 어떻게, 왜 이 높은 산봉우리에 이러한 요새를 지었는지 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잉카인들이 스페인 사람들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만들었다는 추측이 있을 뿐. 그러나 그들은 왜 어느날 갑자기 이 요새를 불태우고 사라졌을까? 의문은 끝이 없 다. 피리 레이스의 지도에 의심을 품고 잃어버 린 문명 탐사를 나섰던 그레이엄 행콕의 책제목 처럼 그것은 `신의 지문'이었다.

정상에는 잉카인들이 숭상하던 숫자 `3'(과거, 현재, 미래) 계단을 허리에 지른 채 야마가 올 려진 제단이 놓여있다. 이 제단의 건물들도 쿠 스코에서 볼 수 있었던 바위들처럼 한치의 오차 도 없이 맞물려져 있다.

잉카시대 건물들은 모두 태양의 움직임을 바탕 으로 지어졌다.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사계를 예측하고 태양을 숭배하며 살았다고 전해진다. 높은 곳에 도시를 건설한 것도 태양과 가장 가 까이 있고 싶던 그들의 염원 때문이 아닌가 싶 다.

화살표를 따라 어지러이 헤매던 '잉카의 길'을 나서면 처음 들어온 입구로 빠져나가게 된다. 현대과학으로도 좀처럼 풀기 어려운 수학, 건축 기술의 신비를 간직한 마추피추를 뒤로하고 다 시 기차를 타기 위해 역으로 내려오는 동안에 도 또 한폭의 삽화가 그려진다.

버스가 굽이굽이 돌 때마다 산꼭대기부터 따라 오는 꼬마가 버스에 타고 있는 관광객들에게 손 을 흔들며 `굿-바이'를 외친다. 챠스키 (케추아 어로 전령사라는 뜻) 보이다. 처음엔 잘못 봤나 생각했는데 버스가 한 구비를 돌며내려올 때마 다 같은 꼬마가 굿바이를 외치며 따라온다. 정 류장 입구에 다다르면 버스 안으로 뛰어 들어와 땟국물이 흐르는 손을 내민다. 챠스키 보이가 뛰어온 길은 1천 7백여개의 계단. 마추피추의 추억을 오래 간직하고 싶은 사람은 이들과 함께 돌계단으로 내려오는 것도 괜찮다.

추천2 비추천0
Loading...

댓글목록

챌린저님의 댓글

챌린저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잉카 문명의 신비라...흥미롭네요~~  헌데 딴지 거는 건 아니지만, 신의 지문이란 책을 보면...잉카의 놀라운 건축물이 사실은 잉카인이 만든 게 아니고, 잉카인 이전에 살았던 미지의 존재가 만든 거라고 나왔더군요!
잉카인들이 이동해 오다가 우연히 발견한 고대 유적에 거주하게 된 거라고 저자는주장하던데...
솔직히 그런 주장이 일리가 있다고 봅니다.
석기 시대 수준의 문명을 가진 잉카인들이 저런 거대한 바위 구조물을 어떻게 해발 수 천 미터 높이의 까마득한 절벽 위에 지을 수 있었는지?
어떤 잉카의 기록에도 잉카인이 저런 건물을 지었다고 나온 적이 없었다는..
심지어 바퀴도 없던 잉카 문명이 저렇게 훌륭한 거대 건축물을 제작하긴 힘들지 않았을 까요?

이정환님의 댓글

챌린저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그러고보니 남미 중심 초원에 알려지지 않은 문명에 대한 다큐를 봤는데요. 혹시 그 문명에 대하여 아시는 분은 없나요? 거대한 평원에 주변 지대 보다 높은 땅을 쌓아 거주지를 만들고 길을 만들고 글랬던데
대체 누가 만들엇는지는 정작 알지 못하더라고요

알라님의 댓글

챌린저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석기시대는 아닙니다. 황금의 제국이었고 엄청난 문명을 가지고 있었지요.
단지 화약이 없었을 따름이었죠. 총도 없었겠지요. 그것만 개발했었으면
서구의 문명에 결코 밀리지 않았겠지요. 아프리카와는 다름니다. 잉카는
엄청난 달력과 엄청난 신전을 만든 민족이었으니까요

뭐시여님의 댓글

챌린저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잉카 문명 정말로 대단합니다..저 높은 곳에..저렇게 훌륭한 건축물을 만들수 있다니..벽도 빈틈없이 만들로 수로까지 할수 있다니..저런 훌륭한 문명을 이룩했던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요?

Total 1,485건 31 페이지
초고대문명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비추천 날짜
885 지식탐험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1 0 12-09
884 진짜미드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68 1 0 12-09
883 진짜미드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7 1 0 12-09
882 진짜미드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 1 0 12-13
881 페페로가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721 1 0 12-15
880 흑나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66 0 0 12-17
진짜미드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8 2 0 12-20
878 진짜미드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34 1 0 12-20
877 진짜미드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42 1 0 12-22
876 강나루21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792 2 0 12-30
875 지식탐험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4 1 0 01-08
874 흑나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77 2 0 01-09
873 챌린저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87 2 0 01-12
872 지식탐험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572 1 0 01-12
871 지식탐험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636 1 0 01-21
870 챌린저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778 2 0 02-01
869 회색늑대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58 1 0 02-27
868 페페로가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 2 0 03-02
867 클라이언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58 1 0 03-10
866 지식탐험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15 1 0 03-17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구글 OTP 인증 코드 입력

디바이스에 앱에서 OTP 코드를 아래에 입력합니다.

OTP 를 잃어버렸다면 회원정보 찾기시 해지 되거나,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이메일 인증으로 해지 할수 있습니다.

OTP 해지하기

론건맨 상위 순위 10

  • 1 사라랜스402,561
  • 2 선상반란302,220
  • 3 eggmoney119,307
  • 4 샤논115,847
  • 5 nabool100,590
  • 6 바야바95,516
  • 7 차카누기93,943
  • 8 기루루88,867
  • 9 뾰족이87,715
  • 10 guderian008385,845

설문조사

론건맨 싸이트가 열리는 체감 속도는 어떤가요.?

설문조사

론건맨이 부활한 것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접속자집계

오늘
2,362
어제
1,625
최대
2,581
전체
14,285,550
론건맨 요원은 31,003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