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홀 찾는 정확한방법 > 행 성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행 성

블랙홀 찾는 정확한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엄브렐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753회 작성일 03-04-27 13:26

본문

블랙홀을 찾을수있는 정확한 방법을 알려 드리죠..
제가 쓴 밑에것은 좀 미흡한점이 많습니다.
지금부터 알려 드리겠습니다.
연성계의 상대인 블랙홀에서 X선을 포착하면, 그 존재를 밝힐 수 있다.

빛조차 탈출할 수 없는 블랙홀을, 어떻게 하면 찾아 낼 수 있을가?
블랙홀이 단독으로 존재할 때는 그 존재를 알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나 연성의 한 쪽이 붕괴하여 블랙홀로 되어 있는 경우라면, 그 존재의 관측도 가능해진다. 블랙홀의 강한 중력에 의해 상대별의 가스가 빨려들어갈 때에 강한 X선을 내기 때문이다.
결국, 블랙홀을 찾아 내려면, X선을 방출하년 X선 별을 찾아 내면 된다.
중성자별도 마찬가지로 X선을 방출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X선을 방출하는 별의 질량이 태양의 3배 이상이라면, 그 별은 중성자별이라 할 수 없고 블랙홀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유럽의 "엑소샛'을 비롯하여 3기의 X선 천문위성이 X선별을 관측하고 있다. 이들의 관측 결과에서 블랙홀의 가장 유력한 후보로 등장한 것이 백조자리 X-1이다. 백조자리 X-1의 질량은 태양의 10배 이상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밖에도 블랙홀 후보인 천체가 5개 발견되어 있다.

블랙홀로부터의 X선 방출
근접연성계에서는 별 표면의 가스가 블랙홀 주위로 빨려들어간다. 가스가 블랙홀 주읭\\를 회전하면서 낙하해 들어가기 때문에 거대한 원반이 형성된다. 원반은 블랙홀 근처에서 고온으로 가열되어, X선을 방출한다. 블랙홀로 생각되고 있는
X선원(線源)에서 X선의 강도는 심하게 변동한다. 이것은 블랙홀 주변의 고온가스의 불안정성 때문이 아닌가 생각되고 있다.

X선원(線源)의 분포도
현재 관측되어 있는 X선원은 1천 개가 넘는다.은하면을 따라 분포하는 밝은 X선원의 대부분은 근접연성계이다. 일부는 보통별이고, 일부는 백색왜성이나 중성자별, 또는 블랙홀이다.
이중(二重) 동그라미로 표시한

맨 윗그림참고
(이중동그라미:VO332+53,백조자리X-1,GX339-4,콤파스자리X-1,대마젤란성운X-1,대마젤란성운X-3)

여섯 개는 유력한 블랙홀의 후보들이다. 이들은 X선의 강도가 1천분의 1초로 격변하며 극단적으로 파장이 긴 X선스펙트럼을 가지는 등 다른 연성계에는 없는 특징이 있다. 특히 백조자리X-1과 대(大)마젤란성운 X-3은 블랙홀일 가능서이 크다.


출처:계몽출판사의 뉴턴 하이라이트 블랙홀 우주
(인터넷자료 아님. "뉴턴 하이라이트 블랙홀 우주" 라는 책에서 읽은 내용임)
추천3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313건 11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sunjang.com.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