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의 진화 새유형…우주역사 '빅뱅' 전주곡? > 행 성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행 성

별의 진화 새유형…우주역사 '빅뱅' 전주곡?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타는필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댓글 0건 조회 922회 작성일 07-05-15 13:46

본문

별의 진화 새유형…우주역사 '빅뱅' 전주곡?

[한국일보 2007-05-15 04:18]


사진#01

태양빛 500억배 'SN 2006gy' 초신성 폭발 의미는
잔해 없는 최후 등 메커니즘 상이 1세대별 탄생∼소멸 과정과 유사
남반구 巨星 '에타 카리나' 주목…은하의 비밀 풀어줄 단서 기대도

천문학계는 별의 진화에 대한 모델에서 새로운 진화 유형을 추가해야 할 것인가.

최근 외신을 통해 사상 최대 규모의 초신성 폭발이 관측됐다고 보도되면서 이 초신성 폭발이 갖는 의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태양빛의 500억배나 되는 엄청난 빛을 내뿜고 사라진 NGC1260은하의 SN 2006gy가 그 주인공이다.

●은하보다 더 밝은 초신성

SN 2006gy는 우리 은하 전체 밝기의 10배나 되는 빛을 찬란히 내뿜으며 폭발하고 은하의 먼지로 사라졌다. 물론 이 사건은 지구에서 2억4,000만광년이나 떨어진 곳에서 일어난 일이어서 오직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찬드라 X선 망원경과 하와이에 있는 켁(Keck) 천문대 광학망원경으로 가늠한 것이다.

이 장관이 얼마나 경이로운 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리 은하 안에 있는 에타 카리나가 SN 2006gy와 같은 운명을 겪는 상황을 상상해 보면 된다. 에타 카리나는 남반구 하늘에서 관측되는 거대한 별로 과학자들은 에타 카리나에서 나타나는 질량 소실이 SN 2006gy가 폭발 전 보인 현상과 비슷하다고 보고 있다.

지구로부터 7,500광년 떨어진 곳에서 태양의 500만배나 되는 에너지를 내뿜고 있는 에타 카리나가 폭발할 경우 지구에서는 밤에도 신문을 읽을 만한 밝은 빛을 볼 수 있다. 남반구 하늘에서 수십 일간 쏟아질 이 장렬한 별의 최후를 즐기기 위한 관광 상품이 나올 것이라는 예측도 벌써 나온다. 에타 카리나가 폭발한다 해도 지구의 생명체는 별 지장이 없다.

●새로운 종류의 별 진화

SN 2006gy의 초신성 폭발은 지금까지 알려진 폭발과는 메커니즘이 전혀 다른 것으로 추정된다. 보통 초신성은 별이 핵융합 반응에 쓰이는 연료를 다 소모한 뒤 자기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붕괴되는 거대 별의 종말을 가리킨다. 초신성 폭발을 관측한 미 캘리포니아주립대 연구팀은 SN 2006gy는 별의 중심으로부터 감마선이 방출되면서 입자-반입자쌍으로 변환돼 폭발했다고 설명한다.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구본철 교수는 “질량이 무거운 별은 감마선과 같은 광자의 압력이 중력을 지탱하고 있다.

그런데 감마선이 별 중심부의 원자핵과 충돌해(입자-반입자로 변환되어) 사라지면, 압력이 줄어 함몰하게 되고, 함몰하면 온도가 올라가고, 다시 감마선이 더 많이 나오고, 감마선이 또 다시 사라지는 과정을 멈추지 못해 궁극적으로 별이 폭발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대부분의 거대한 별이 초신성 폭발 후 블랙홀이나 중성자별로 최후를 맞이하는 것과 달리 SN 2006gy는 폭발 후 잔해를 남기지 않고 사라져 버렸다.

다만 원래 SN 2006gy를 구성했던 원소들은 새로운 별로 다시 태어날 재료가 될 수 있다. 별 진화 유형의 목록에 한 줄을 추가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런 차이점 때문이다.

●별의 1세대는 어떻게 죽었나

폭발 전 SN 2006gy는 태양보다 질량이 150배 이상 무거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태양의 수십배 질량의 별은 우주에 흔하다. 이러한 초거성은 초신성 폭발을 거쳐 대부분 블랙홀이 되거나 일부 중성자성이 된다. 하지만 SN 2006gy처럼 질량이 극히 큰 거대 별은 전 우주를 통틀어 10개나 있을까 말까 할 정도로 극히 드물다.

하지만 천문학자들은 우주 역사 초기에는 이러한 거대 별이 흔했다고 예상한다. 빅뱅 후 은하가 만들어지기 전, 가장 먼저 태어난 1세대 별들이 그들이다. 당시 우주에는 수소와 헬륨만 존재했다.

무거운 원소들(탄소, 산소, 철 등)은 별이 폭발과 탄생을 거듭하면서 만들어진 산물이기 때문이다. 구 교수는 “무거운 원소들이 없으면 기체가 잘 식지 않고, 결국 뜨거운 기체 구름이 수축해 별을 만들려면 매우 큰 중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주 초기 만들어진 별은 태양 질량의 100~1,000배나 될 정도로 무거웠다”고 말한다.

결국 SN 2006gy 초신성 폭발은 우주에서 가장 먼저 빛을 발한 1세대 별들이 어떻게 탄생하고 죽어 후손 별을 낳았는지를 보여주는 고색창연한 우주 역사의 재현일 수 있다. 이번 관측을 이끈 캘리포니아주립대 네이선 스미스 교수는 “별이 죽어서 블랙홀이 되는 것과 다른 별들을 만들 풍부한 재료를 우주에 돌려주는 것은 초기 우주의 형성에 전혀 다른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희원기자 hee@hk.co.kr


추천0 비추천0
Loadin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0건 6 페이지
행 성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비추천 날짜
170 실버오공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8 0 0 08-16
169 buf63…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14 0 0 07-16
168 buf63…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76 0 0 07-16
167 룐건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5 1 0 07-08
166 불타는필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28 1 0 07-06
불타는필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23 0 0 05-15
164 불타는필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62 0 0 04-19
163 buf63…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84 0 0 02-22
162 다크서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9 0 0 02-21
161 행성간경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56 0 0 02-14
160 buf63…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62 0 0 02-12
159 buf63…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56 0 0 02-12
158 buf63…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88 0 0 02-07
157 buf63…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73 0 0 02-05
156 buf63…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44 0 0 01-20
155 buf63…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68 0 0 01-20
154 지식탐험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83 0 0 12-27
153 지식탐험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37 1 0 12-20
152 광석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72 0 0 12-06
151
의 죽음 댓글+ 3
지식탐험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11 1 0 10-31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구글 OTP 인증 코드 입력

디바이스에 앱에서 OTP 코드를 아래에 입력합니다.

OTP 를 잃어버렸다면 회원정보 찾기시 해지 되거나,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이메일 인증으로 해지 할수 있습니다.

OTP 해지하기

론건맨 상위 순위 10

  • 1 사라랜스404,661
  • 2 선상반란302,220
  • 3 eggmoney119,597
  • 4 샤논115,847
  • 5 nabool100,970
  • 6 바야바96,006
  • 7 차카누기94,523
  • 8 기루루89,247
  • 9 뾰족이88,015
  • 10 guderian008387,145

설문조사

론건맨 싸이트가 열리는 체감 속도는 어떤가요.?

설문조사

론건맨이 부활한 것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접속자집계

오늘
1,364
어제
1,586
최대
2,581
전체
14,304,738
론건맨 요원은 31,003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