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하 우주의 끝으로 > 행 성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행 성

은하 우주의 끝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734회 작성일 01-09-01 14:15

본문

은하 우주의 끝으로

새 은하 철도

1백수십억 광년의 저쪽으로!
천문학의 최신 지식을 통해 살펴보는
대우주 여행

지구의 궤도를 도는 허블 우주 망원경, 새로이 가동을 개시한 지상의 대형 망원경 등에 의한 관측을 통하여 천문학의 세계에는 차례로 새로운 지식과 정보가 축적되고 있다. 이제까지는 자세히 볼 수 없었던 천체가 선명한 화상으로 포착되고, 다이내믹한 현상의 세세한 내용이 밝혀지고 있다.

우주에서는 우리들의 상상을 훨씬 초월하는 스케일로서 웅장한 드라마가 전개되고 있다. 우주에는 과연 생명이 존재하는 것일까? 충돌하는 은하나 퀘이사를 가까이에서 본다면 어떠한 광경이 펼쳐지고 있을까? 그리고 우주의 끝은 어떻게 되어 있을까?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알려져 있는 가장 먼 우주에까지 여행을 떠나 보자. 지구로부터 차츰 멀어지면서 우주의 명소를 안내하기로 한다.

우주 지도 1

지구에서 은하계로

지구에서 우주의 끝을 겨냥하고 길을 떠나보자. 우주 여행을 떠나기에 앞서 우선 우주의 지도를 살펴보자. 은하계의 일부인 오리온자리의 팔 안에 있는 태양계는 은하계의 중심에서 약 2만 80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다. 태양계의 제3행성인 지구에서 떠나, 달의 월면 기지를 거쳐, 목성의 위성 에우로파의 바다에 잠수해 보자. 에우로파는 두꺼운 얼음으로 덮여 있으며, 그 아래에는 액체 상태의 바다가 있을 것으로 여겨 지고 있다. 액체의 바다에는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나아가 태양계의 황도면에서 떨어져 태양계를 둘러싸고 있는 오르트의 구름까지 가보자. 오르트의 구름은 태양계를 누에고치처럼 싸고 있는 소천체의 모임이다. 여기서 태양계와 작별을 고하고 다음 목적지인 입실론 안드로메다별 행성계를 향해 간다. 태양계 이외의 곳에서 행성계가 발견된 것은 아주 최근의 일이다. 입실론 안드로메다별 행성계는 태양으로부터 약 45광년 거리에 있으며, 거대한 가스 행성이 항성의 바로 가까이에서 돌고 있는 장면을 볼 수가 있다. 이제 1500광년 떨어진 S106 별형성 영역으로 가보자. 최근의 스바루 망원경에 의한 관측을 통하여 S106 별형성 영역에서는 별이 막 태어 나는 장면이 선명하게 포착된 바 있다. 그런 다음에는 9000광년 떨어진 카시오페이아 자리 A에 들러 별이 죽음에 이르는 장면을 목격해 보자. 은하의 도처에서 별의 삶과 죽음이라는 이러한 드라마가 펼쳐지고 있다. 여기서 은하계를 떠나 다음 목적지로 향하게 된다.

...(이하 생략)

추천1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313건 12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sunjang.com.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