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에서 살기가 불안합니다. > 행 성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행 성

지구에서 살기가 불안합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댓글 27건 조회 1,137회 작성일 04-08-02 18:20

본문

자석에 쇠가 달라붙는거 다 아실겁니다.

혹시, 자석을 공중에 매달고 그 아래 쇠공을 놓아 아래 그림처럼 놓았을때...

사진#1

쇠공이 자석에 끌려 올라가지도 않고

바닦에 떨어지지도 않는 힘의 중심점이 있겠지요?

그 힘의 중심점에 쇠공을 가만히 놓아두면.....

쇠공이 공중에 계속~ 떠 있을 수 있을까요?


혹시 외부의 영향을 받지않는 곳에서 쇠공을 띄워놓는데 성공했다고 가정하면...

그때 만약 쇠공에 묻어있던 먼지 하나가 떨어져 나가면?

쇠공의 질량이 감소한 현상이니 중력이 약해져서 쇠공이 결국 자석쪽으로 달라붙지 않을까요?


이런 생각을 하게된건 바로 태양주위를 공전하는 지구를 생각하느라 그럽니다.


사진#2

위처럼 지구는(다른행성도 모두 포함) 이미 수십억년을 태양의인력과

윈심력의 중심점에서 조용히 공전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지구에서 쏘아올린 각종 탐사선들.... ( 26년전에 쏘아날린 보이저호 포함... )

지구에 있던 질량이 빠져나간 결과가 되니 지구가 가벼워져서 원심력이 약해졌을까요?

결국 원심력이 약해서 서서히 태양쪽으로 끌려가버리지 않을까요?
추천1 비추천0
Loading...

댓글목록

스위스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어느정도 물질이 떨어져 나가도 워낙에 큰 행성이라 무시해도 될정도의 량은 무시되는겁니다.
이우주란 정말 신비하죠  물론 우리의 IQ로도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대부분이지만요

이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지구의 질량보존과 안전한 공전을 위해
그동안 쏘아날린 각종 탐사선들을 빨리 회수하라고 NASA 에 요청합시다.  - - +

송재원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우주의 질서겠져? 지구의 질량이 줄어든다면 공전속도가 빨라지던지해서 균형을 맞출겁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태양계는 끝장나겠져?
지구가 태양계로 끌려가면 태양의 질량이 증가하고 인력이 더 강해져서
기타 행성도 다 끌려들어오게 되지 않을까여??
물론 위의 글에서와 같이 미세한 차이로 공전주기에 영향을 미치거나 하진 않겠지만
지구질량에 확연한 차이가 생기더라도 공전주기가 변한다던지 하는 식으로 균형이 유지될듯 싶습니다..
공전자체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조화운동이니깐여??
그냥 제생각입니다^^;;

맹주영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반대로 지구로 26년 전부터 지구에 떨어진 운석도 계산해보시면 그게 그거 아닐까여? 제생각엔 오히려 나가는 양보다 들어오는 양이 더 많지 않을까 싶네여

최성일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저런원리를 가지고 만든장치가 있습니다.  각종 외부적 요인때문에 항상 고정된 위치에 있을수는 없기 때문에 전자석을 이용하여 자력을 제어하지요.

이동훈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ㅎㅎㅎㅎㅎ 아인슈타인의 일반적 상대이론을 모르시군요.... 아인슈타인은 들어봤을겁니다.
제가 간략히 설명을 드리죠.
뉴턴이란 사람이 중력을 처음 발견하였습니다. 그당시에만해도 태양의 중력에 의해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돌아간다고 생각했습니다.
허나, 이것을 정면으로 반박한 이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입니다. 상대성이론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이론으로 현재는 아인슈타인이 이루지 못한 통합 즉, 모든 만물에 적용할수 있는 하나의 공식을 한걸음 더 나아가 끈이론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세상은 4차원으

류진열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탐사선들은 원래 처음부터 없었잖아요? 인간들이 살아가면서 만들어낸 조형물인데...;;

좀 내용이 안맞는듯 해요 님 이론대로라면 이 지구는 세월이 지나가면서 사라지고 다시 생겨나고를

수차례 수억번 했을텐데;; 너무 걱정마세요

아니 걱정할 필요가 없군요

이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똥구녕의털 요원님 ( 부르기가 민망하네요 ^^ )

아인슈타인의 일반적 상대이론에 의해 질량이 줄어더라도 상대적으로 인력이 같이 줄어 크게 걱정 안해도 되는거군요, ( 맞게 해석한건지는 모르지만... )

암튼 질량하고는 상관 없다는것으로 들리는데요,.

그럼, 탐사선이 쏘아져 올라갈 때 분명 지구를 밀어내며 날라갔을텐데 그건 어떻게 생각해야 될까요?

뉴턴의 작용 반작용의법칙에 의해 그 힘이 지구 공전괘도에 영향을 주진 않았을까요?

한웅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아아. 똥구녕의털...(으음)요원님. 일단 이 세상은 4차원 시공간 입니다.. 그리고요 그 장판을 들어가게 한느 힘은 무엇일까요? 바로 물체의 '질량'입니다. 지구가 태양주위를 도는 이유는 과거에도 미래에도 태양의 중력 때문입니다.

 그 고무장판의 모형은 이해하기 쉽게 단순화시킨 말그대로 모형일 뿐입니다.

우주탐사선 등은 모두 지구의 물질로 만들었기 때문에 물론 우주로 내보내면 그만큼 지구의 질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그럼.. 위험할까요?

지구의 질량은 약 59조 8천억 톤입니다. 여태까지 우주로 날려보낸 총 질량을 계산하면 몇톤이나 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정말, 인심써서 크게잡는다 해도 10000톤 이상일거라 상각되지는 않습니다.

이경우 비율은 59억 8천만 분의 1정도.......군요

정말 말도안되지만.. 10만톤의 질량을 우주로 날려보냈다고 해도 5억 9천 8백만분의 1입니다.

무슨일이 있는게 이상할.. 정도 입니다.

더구나 우주에서 지구로 유입되는 질량은 kg단위는 수천수만개 입니다.(에너지 형태는 제외, 즉 운석) 가끔 톤단위도 떨어지죠.

 그리고 원래 지구의 궤도는 정원正圓이 아닙니다. 기울어진 타원이죠. 공전궤도는 수시로 변합니다. 가장 큰이유는 달의 인력, 그리고 행성간의 인력등 때문이죠.

지구에서 유출되는 질량은 이에비해 정말 미미한 정도입니다. 그러니.

안심하고 사셔도 좋습니다-_乃

한웅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아 그리고 탐사선이 우주로 날아갈때 지구를 밀어내고 날아간다.. 라고 하셨는데 그렇게 보자면...

사과가 떨어질때도 지구과 사과를 잡아당기는 힘의 반작용으로 사과는 지구를 뜰어당기고 있고 모기도 지구를 밀어내며 날고 있습니다^^;

지구의 궤도에 영향을 줄 정도의 추진력을 가진 물체를 지구 표면에서 발진 시킨다면...

 발진지점의 지각은 대규모로 붕괴, 맨틀이 터져나오고 그 부분을 중심으로 엄청난 지진이 발생, 진원이 지구 표면이므로 (만약 같은 규모라도)통상 지진의 수천배에 달하는 지진파가 전 지구를 강타, 지구 반대편에서는 추진력이 지구에 가한 힘이 분출되어 대규모의 지각 융기가 일어날 것이고 충격파에 의한 거대한 해일이 대륙을 덥칠 것입니다. 대부분의 생명체는 사멸....

 역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듯 합니다......

조인수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탐사선의 무게는 인간과 비교하면 엄청나지만 지구나 태양에 비교하면 별거 아닙니다. 그리고 매일매일 우주의 먼지들이 지구안으로 들어오고있고요.

안익수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음.. 잘은 모르겠지만..지구의 달이나 기타행성들이 외부의충격(혜성)에도 불구하고 몇십억년을 태양계주위로 잘 붙어 있는걸 보면.. 질량이 조금 적어 진다고 해서 아무탈 없을것 같군요.. 질량이 줄어드는것 보다 더큰 질량이 충돌하는것이 더 위험한 일이지만.. 아직까지 별탈없으니까요..^^

한웅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아.. 쓰면서 어째 지구가 너무 가볍다 했더니..

지구의 무게는 약 59해 8천경 톤 정도 입니다. 더 더 욱 걱정할 필요 없겠네요.ㅎ

대략 비율은 59경 8천억분의 1... 이라-_ 본문 그림의 공에서 전자하나 튀어나가는 정도.. 일까요..

김정근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훔.... 그면. 저번에 목성에 충돌한..소행성땜에.. 목성이 지금 빡씨게 태양쪽으로 날라오겟군뇨~+ ~ 헐.. 무섭네요 ㅋㅋ

김광균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우주선이 지구를 민다는 표현은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져 물론 맞는 표현
일지도 우리가 수심2미터의 풀장에서 잠수를 햇다고 보면 물속에서는 부력이 존제
해서 우리몸속에 남아있는 공기덕에 잘안 가라않지만 숨을 내쉬고 나면 잘가라않저
그리고 바닥에서 세게 바닥을 차면서 위로 나오면 알수잇을 겁니다.
어째서 우주선이 지구를 밀면서 우주로 나간다는 지를...

한웅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네네 우주선은 지구를 밀고 날아갑니다. 작용 반작용의 원리죠. 위에서 말햇다시피.. 그 추진력은 극히 미미해서...

파리가 지구를 밀며 나는것과 별 차이가 없다고 한 것입니다..;

이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우주선이 지구에 비해 힘이 미미하다는건 인정되지만,
파리와 다른 점은,...

파리는 지구를 떠나지 않았다는 것이죠...
그냥 지구 위에서 공기만 밀치며 날고있는 것이죠..
수족관 속의 물고기로 표현하면,,
수족관속에서 그냥 헤엄만 치는 경우와, 펄쩍 뛰어올라 수족관을 탈출한 경우로 보면 되는것이죠

알다시피 우주선은 지구를 떠났죠..
물론 그 힘이 미미하다는 것은 알고있지만 확실히 지구를 밀쳐내며 떠난 것이죠..

김현진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그렇죠.. 확실히 지구를 밀쳐내고 떠났죠... 그렇다고 그힘이 지구에 영향을 줄만큼은 아니라는 것 같은데요... 내 머리에 앉은 파리가 날아갈때 분명 내 머리를 박차고(?) 날아가지만 그 것땜에 내가 쓰러지거나 이마에 파리 발자국이 남지는 않지 않습니까? ^^

김상영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ㅋㅋ 지구가 태양에 우주선을 넘보내 끌려가기 전에 태양계수명이 끝날겁니다. 인류는 자멸아니면 다른 행성으로 이주했겠지여? 그 시간이후엔...

이진우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질량은 상관 없습니다 ^^;;    거리와 속도만 관계가 있죠.... 이 원리로 인공위성이 지구위를 도는 것이죠....   
만약 질량에 따라 정지괘도가 달랐다면 과학자들이 엄청고생했겠죠 ^^;;;;
하지만 다행히도 질량과는 무관하게 거리만 맞추면 공전을 한답니다 인공위성처럼요//

이현수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전는 공전괘도에서 떨어져나갈까봐 두렵습니다

1년에도 몇억개찍 운석은 우주에서 날라오는데 그무게가 어마어마 합니다.. 원심력이세져서

날라가버릴지않을까싶네요..

하봉안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휴... 우리가 이렇게 열심히 우주를 밝히려고 하지만, 과연 인류가 1000억년을 생존한다 한들 모든 우주의 비밀을 밝힐 수 있을까요? 인간은 표준신장 160cm밖에 안돼는 미물인데 말이죠.

최용제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지구가 태양주위를 돌때 태양과 지구의 거리는 조금씩 변한다고 합니다.
다시 말해서 정확한 거리가 아니라 예를들어 띠를 생각하고 그 띠속에서 조금씩 왔다갔다 한다고 합니다.
지구의 자기장과 태양풍의 영향때문이라고 본것같은데 어느 과학잡지인지 정확히 기억 못하겠네요.
여하튼 지구가 태양으로 빨려 들어갈 일은 없는것 같습니다..

강규옥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인공위성들은 지구를 떠난게 아닙니다. 지구권을 떠난건 기껏해야 목성이나 금성, 화성등으로 보낸 탐사선정도입니다. 나머지 인공위성들은 그냥 지구의 열권이라는 지구권내에 포함되어있는거죠...
다.시.말.해! 비유를 하자면 수족관에서 탈출한게 아니라 그냥 파닥거리고 있다고 보면 되는거죠..
탈출한건 단 100건도 안되는점을 감안할때, 이 정도 추력이 지구의 궤도에 영향을 미쳤다고는 생각되지 않네요...
나비효과라도 일으켰으면 또 몰라도..ㅋㅋ

김나영님의 댓글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날씨도 추운데 태양옆에서 따뜻하게 삽시다. 여름엔 우쨔냐구요 ? 글쎄요...^^

저 광활한 놀이터에서 놀고 있는 행성, 항성 행님들. 우리 얼라가 낄 놀이터가 아니죠.
인간은 그저 행님들이 만들어준 공간 속에서 살다가 행님들이 실수로 만들어 놓은 더 좋은 자연을 찾으면 이주할 능력만 갖추면 됩니다. 힘좋고 오래가는 우주선 만들고 좁살 만한 고영양식량 개발하고 시력 좋은 망원경 만들고 외계인 공격에 대비해 파괴력 좋은 무기 만들고...밤도 됐는데 우리 행님들이나 보러 갈까..

Total 1,289건 1 페이지
행 성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비추천 날짜
1289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2 3 0 01-12
1288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74 1 0 01-25
1287
목성(Jupiter) 댓글+ 2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73 2 0 09-08
1286
파란태양 사진 댓글+ 10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077 2 0 10-15
1285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2 0 0 07-07
1284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36 0 0 08-07
1283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900 3 0 01-07
1282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70 7 0 06-28
1281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29 1 0 02-02
1280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86 0 0 08-25
1279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22 0 0 09-04
1278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79 6 0 09-05
1277
금성의 얼굴 댓글+ 3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47 0 0 09-04
1276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49 0 0 01-28
1275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20 0 0 06-07
1274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88 0 0 02-14
1273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15 0 0 04-28
1272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82 0 0 06-04
1271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36 0 0 05-28
1270 선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5 0 0 02-02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구글 OTP 인증 코드 입력

디바이스에 앱에서 OTP 코드를 아래에 입력합니다.

OTP 를 잃어버렸다면 회원정보 찾기시 해지 되거나,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이메일 인증으로 해지 할수 있습니다.

OTP 해지하기

론건맨 상위 순위 10

  • 1 사라랜스403,351
  • 2 선상반란302,220
  • 3 eggmoney119,347
  • 4 샤논115,847
  • 5 nabool100,720
  • 6 바야바95,556
  • 7 차카누기94,273
  • 8 기루루88,907
  • 9 뾰족이87,735
  • 10 guderian008386,895

설문조사

론건맨 싸이트가 열리는 체감 속도는 어떤가요.?

설문조사

론건맨이 부활한 것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접속자집계

오늘
1,973
어제
2,473
최대
2,581
전체
14,290,119
론건맨 요원은 31,003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