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태양계 탐사선 연표 > 행 성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행 성

[펌]태양계 탐사선 연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썰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댓글 1건 조회 511회 작성일 05-10-10 09:23

본문

태양탐사

◎ 파이어니어 5호

미국 태양계 탐사선
발사: 1959년 3월 11일
태양 탐사선이 태양궤도에 보내짐.


◎ 파이어니어 6호

미국 태양 탐사선 - 63.4 kg
발사: 1965년 12월 16일
파이어니어 6호는 현재까지도 자료를 전송해 오고 있음.


◎ 파이어니어 7호

미국 태양 탐사선 - 63 kg
발사: 1966년 8월 17일
이 탐사선은 최근에 임무를 마침.


◎ 파이어니어 8호

미국 태양 탐사선 - 63 kg
발사: 1967년 12월 13일
파이어니어 7호는 현재도 자료를 보내오고 있음.


◎ 파이어니어 9호

미국 태양 탐사선 - 63 kg
활동: 1968년 11월 8일 - 1987년 3월 3일
아직 태양 궤도에 있지만 탐사활동은 중지했음



◎ 익스플로러 49호

미국 태양 탐사선 - 328 kg
발사: 1973년 6월 10일
달 궤도에서 태양의 여러 가지 물리적 성질을 탐사했다.


◎ 헬리오스 1호

미국과 독일의 공동 태양 탐사선 - 370 kg
활동: 1974년 12월 10일 - 1975
태양 탐사선이 태양 궤도에 올려져 태양에 4,700만 km까지 접근하였다.


◎ 태양계 최대 임무

미국 태양계 탐사선
발사:1980년 2월 14일
태양 최대 임무(Solar Maximum Mission)는 태양의 활동이 극대일 때 플레어와 같은 태양 활동을 탐사하는 임무를 띠고 있었다. 이 우주선은 예정되었던 궤도에 진입하는 데 실패하였다. 1984년에 이 탐사선을 수리하기 위한 탐사선 STS-41C 가 발사되어 성공적으로 수리를 마친 후 1989년 11월 24일에서 1989년 12월 2일까지 성공적인 탐사활동을 했다.


◎ 요코

미국, 일본, 영국의 공동 태양 탐사선
발사: 1991년 8월 31일
요코 탐사선은 태양의 플레어가 내는 고에너지 방사선을 탐사하였다.


◎ 헬리오스 2호

미국 독일의 태양 탐사선
발사: 1976년 1월 16일
태양에 4,300만 km까지 접근하였다.


◎ 율리시스

미국, 유럽의 공동 태양 탐사선- 370 kg
발사: 1990년 10월 6일
율리시스 우주선은 태양의 극지역과 극 상공의 공간을 탐사하기 위한 국제적인 탐사계획이었다. 율리시스는 태양을 도는 타원궤도에 진입하기 위해 목성의 인력을 이용하였다. 1992년 2월 8일에 목성을 지나간 율리시스는 1994년에 최초로 태양의 극지역을 통과했다. 1995년 2월에는 태양의 적도 위를 지났고 1995년 6월에는 북극 상공을 지났다.


◎ 소호(SOHO)

유럽의 태양 탐사선
발사: 1995년 12월 12일
본격적으로 태양에 대한 과학적 조사를 하기 위한 SOHO (Solar and Heliospheric Observatory) 계획은 태양으부터 나오는 빛의 세기와 변화를 자세히 측정하여 태양의 내부 구조를 알아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SOHO는 또한 태양을 둘러 싼 코로나의 물리적 성질과 태양풍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탐사했다. 소호 탐사선은 지구에서 1,500만 km 떨어진 라그랑제 점에서 탐사를 진행했다. 라그랑제점은 태양과 지구의 인력이 상쇄되는 지점이다.




수성탐사

◎ 마리너 10호

미국의 수성, 금성 탐사선, 526 kg
활동: 1973년 11월 3일 - 1975년 3월 24일
마리너 10호는 최초로 두 개의 행성을 탐사하도록 계획 되었던 행성 탐사선이다. 마리너 10호는 1974년 2월 5일에 금성을 지나가면서 금성의 인력을 이용하여 수성쪽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마리너 10호는 수성의 사진을 찍은 첫번째 우주선이었다. 마리너 10호는 1974년 3월 29일, 1974년 9월 21일, 1975년 3월 16일에 3 번에 걸쳐 수성을 지나가면서 수성 전 표면의 57%를 1만 장의 사진에 담았다. 마리너 10호는 수성 표면의 온도가 187도(낮)에서 영하 183(밤)도 사이라는것을 알아냈고, 수성에 약한 자기장이 있다는 것도 발견하였지만 수성에서 대기를 발견하지는 못했다. 마리너 10호는 탐사활동을 중단했지만 아직도 태양 궤도를 돌고 있다.





금성탐사

◎ 베네라 1호

소련의 금성 탐사선, 643.5 kg
발사 ; 1961년 2월 12일
베네라 1호는 현재 임무를 마치고 태양을 돌고 있다.


◎ 마리너 2호

미국의 금성 탐사선, 201 kg
활동 ; 1962년 8월 27일 - 1963년 1월 3일
1962년 12월 14일 마리너 2호는 금성 표면으로부터 34,800 km 에 도달하여 적외선과 전파를 이용하여 금성 표면을 탐사하였다. 이 자료에 의해 금성 표면의 온도가 섭씨 425도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리너 2호는 아직도 태양궤도를 돌고 있다.


◎ 존드 1호

소련의 금성 탐사선, 890 kg
발사 ; 1964년 4월 2일
금성으로 향하는 도중에 통신이 끊어졌다.


◎ 베네라 2호

소련의 금성 탐사선, 962 kg
활동 ; 1965년 11월 12일 - 1966
금성에 도착하기 전에 통신이 끊어졌다.


◎ 베네라 3호

소련의 금성 탐사선, 958 kg
활동 ; 1965년 11월 16일 - 1966
금성 대기권에 진입하기 직전에 통신이 끊어졌다.


◎ 베네라 4호

소련의 금성 탐사선, 1,104 kg
발사 ; 1967년 6월 12일
베네라 4호는 1967년 10월 18일에 금성에 도착하였다. 베네라 4호는 직접 금성 대기중에 들어가 금성 대기의 자료를 지구에 송신한 최초의 탐사선이다. 이 자료에 의해 금성 대기의 90 내지 95 %가 이산화탄소(CO2)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금성표면의 온도는 섭씨 500도였으며 대기압은 75 기압이나 되었다. 금성 대기의 높은 압력으로 베네라 4호는 금성표면에 도달하기 전에 부서졌다.


◎ 마리너 5호

미국의 금성 탐사선, 244 kg
활동 ; 1967년 6월 14일 - 1967년 11월
마리너 5호는 베네라 4호보다 하루 늦은 1967년 10월 19일에 금성에 도착하였다. 마리너 5호는 금성 상공 3,900 km까지 도달하여 금성의 자기장을 탐사하였다. 또한 금성의 대기의 85 내지 99 %가 이산화탄소라는 것도 밝혀냈다.


◎ 베네라 5호

소련의 금성 탐사선, 1,128 kg
발사 ; 1969년 1월 5일
베네라 5호는 1969년 5월 16일에 금성에 도착하였다. 베네라 6호와 함께 베네라 5호는 금성의 대기의 자료를 수집하여 지구로 보냈다. 이 자료에 의하면 대기의 93 내지 97 %는 이산화 탄소이며 2 내지 5 %는 질소이고, 산소는 4% 이하라는 것이 밝혀졌다. 베네라 5호는 금성 표면 26 km 에서까지 자료를 보내왔지만 이 지점에서 압력에 의해 부서졌다.


◎ 베네라 6호

소련의 금성 탐사선, 1,128 kg
발사 ; 1969년 1월 10일
베네라 6호는 1969년 5월 17일에 금성에 도착하였다. 베네라 6호는 금성 표면 위 11 km 까지 도달하면서 금성 대기에 대한 자료를 송신했지만 이 지점에서 압력에 의해 부서졌다.


◎ 베네라 7호

소련의 금성 탐사선, 1,180 kg
발사 ; 1970년 8월 17일
베네라 7호는 1970년 12월 15일에 금성에 도달 하였다. 베네라 7호는 금성 표면에 착륙한 최초의 탐사선이다. 이 탐사선은 외부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착륙후 23 분동안 자료를 송신할 수 있었다. 이 자료에 의하면 금성 표면의 온도는 475도였고 대기압은 90기압이었다.


◎ 베네라 8호

소련의 금성 탐사선, 1,180 kg
발사 ; 1972년 3월 27일
베네라 8호는 1972년 7월 22일에 금성에 도달하였다. 베네라 8호는 금성 대기 속을 내려 가면서 바람의 속도 변화를 측정하여 48 km 성공에서는 초속 100 m, 42 내지 48 km 상공에서는 초속 40 내지 47 m, 그리고 고도 10 km 이하에서는 초속 1m 이하의 미풍이 불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베네라 8호는 금성 표면에 도착한 후에도 50 동안 자료를 전송하였다.


◎ 마리너 10호

미국의 금성과 수성 탐사선, 526 kg
활동 ; 1973년 11월 3일 - 1975년 3월 24일
마리너 10호는 최초로 두 개의 행성을 탐사하도록 계획 되었던 행성 탐사선이다. 마리너 10호는 1974년 2월 5일에 금성을 지나가면서 금성의 인력을 이용하여 수성쪽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마리너 10호는 금성 대기가 순환하는 모습을 관측하였고 구름 위층의 온도가 영하 23도라는 것을 알아냈다. 마리너 10호는 수성의 사진을 찍은 첫번째 우주선이었다. 마리너 10호는 1974년 3월 29일, 1974년 9월 21일, 1975년 3월 16일에 3 번에 걸쳐 수성을 지나가면서 수성 전 표면의 57%를 1만 장의 사진에 담았다. 마리너 10호는 수성 표면의 온도가 187도(낮)에서 영하 183(밤)도 사이라는것을 알아냈고, 수성에 약한 자기장이 있다는 것도 발견하였지만 수성에서 대기를 발견하지는 못했다. 마리너 10호는 탐사활동을 중단했지만 아직도 태양 궤도를 돌고 있다.


◎ 베네라 9호

소련의 금성 탐사선, 4,936 kg
발사 ; 1975년 6월 8 일
베네라 9호는 베네라 10호보다 3일 앞선 1975년 10월 22일에 금성에 도달하였다. 베네라 9호는 베네라 10호와 함께 구름층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고도 57 내지 70 km, 52 내지 57 km, 그리고 49 내지 52 km 에서 서로 다른 구름층을 발견하였다. 베네라 9호는 1975년 11월 22일에 금성 표면에 착륙하였다. 착륙한 후 53분 동안에 최초로 금성표면의 흑백사진을 전송했다.


◎ 베네라 10호

소련의 금성 탐사선, 5,033 kg
발사 ; 1975년 6월 14일
베네라 10호는 베네라 9호보다 3일 늦은 1975년 10월 25일에 금성에 도달하였다. 베네라 10호는 베네라 9호와 함께 구름층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고도 57 내지 70 km, 52 내지 57 km, 그리고 49 내지 52 km 에서 서로 다른 구름층을 발견하였다. 베네라 10호는 1975년 11월 25일에 금성 표면에 착륙하였다. 착륙한 후 65분 동안에 금성표면의 흑백사진을 전송했다. 베네라 9가 착륙했던 지점보더 더 침식된 지형의 사진을 보내왔다.


◎ 파이어니어 비너스 1호

미국의 금성 탐사선, 582 kg
활동 ; 1978년 5월 20일 - 1992년
파이어니어 비너스 1호는 1978년 12월 4일에 금성에 도달하였다. 이 탐사선은 1978년 10월 8일부터 1992년에 통신이 두절될 때까지 금성 탐사활동을 계속했다. 비너스 1호는 최초로 레이다를 이용하여 금성 표면의 지도를 작성하였다. 자기장에 대한 탐사에서는 번개가 만들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강한 자기장의 충격을 감지하기는 했지만 금성의 자기장을 찾아내지는 못했다. 1978년과 1988년 사이에 대기 중의 이산화 황의 량이 10% 감소되는 것을 발견하기도 했다. 그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아마도 금성에서 비너스 1호가 도착하기 바로 전에 대규모 화산이 폭발하여 대기 중에 이산화 황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된 상태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파이어니어 비너스 2호

미국의 금성 탐사선, 904 kg
발사 ; 1978년 8월 8일
파이어니어 비너스 2호 (파이어니어 13호)는 대형 1개와 소형 3개의 대기 탐사봉을 가지고 갔다. 이 탐사선은 1978년 12월 9일에 금성에 도달 하여 금성 대기 중으로 뛰어 들었다. 네 개의 탐사봉은 낙하산을 이용하여 금성 대기 중으로 낙하 했고 탐사선은 대기 중에서 타버렸다. 탐사봉은 고도 70 내지 90 km 에서는 미세한 우박층을 만났고, 10 내지 50 km 에서는 대기의 대류가 있었지만 30 km 이하에서는 대기가 맑았다.


◎ 베네라 11호

소련의 금성 탐사선, 4,940 kg
발사 ; 19758년 9월 9일
베네라 11호는 1978년 12월 25일에 금성 표면에 착륙하여 95분 동안 자료를 보내왔지만 장비의 고장으로 사진은 보내지 못했다.


◎ 베네라 12호

소련의 금성 탐사선, 4,940 kg
발사 ; 1978년 9월 14일
베네라 12호는 1978년 12월 21일에 금성 표면에 착륙하여 110분 동안 자료를 송신하였다. 번개로 인한 것으로 보이는 전기 방전이 기록 되었다.


◎ 베네라 13호

소련의 금성 탐사선, 5,000 kg
발사 ; 1981년 10월 30일
베네라 13호는 1982년 3월 1일에 금성 표면에 착륙하여 금성표면의 흑백사진을 전송하였다. 베네라 13호는 또한 x 선 장치를 이용하여 금성 토양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의하면 금성의 토양은 지구에는 희규한 백류석 현무암이었다.


◎ 베네라 14호

소련의 금성 탐사선, 5,000 kg
발사 ; 1981년 11 월 4일
베네라 14호는 1982년 3월 5일에 금성 표면에 착륙하여 금성표면의 흑백사진을 전송하였다. 베네라 13호는 또한 x 선 장치를 이용하여 금성 토양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의하면 금성의 토양은 지구의 대양의 가운데에 있는 해수면 하에 있는 고지대에서 발견되는 것과 비숫한 현무암이었다.


◎ 베네라 15호

소련의 금성 탐사선, 5,000 kg
발사 ; 1983년 6월 2일
베네라 15호는 1983년 10월 10일에 금성에 도달하였다. 베네라 15호는 베네라 16호와 함께 분해능이 1 내지 2 km 인 극지방에서 북위 30도 사이의 금성 분반구의 지도를 작성하였다. 이들은 여러 개의 온도가 높은 지점을 발견하였는데 이 지점은 아마도 화산일 것으로 생각된다.


◎ 베네라 16호

소련의 금성 탐사선, 5,000 kg
발사 ; 1983년 6월 7일
베네라 16호는 1983년 10월 14일에 금성에 도달하였다. 베네라 16호는 베네라 15호와 함께 분해능이 1 내지 2 km 인 극지방에서 북위 30도 사이의 금성 분반구의 지도를 작성하였다. 이들은 여러 개의 온도가 높은 지점을 발견하였는데 이 지점은 아마도 화산일 것으로 생각된다.


◎ 베가 1호

소련의 금성과 핼리 혜성 탐사선, 4,000 kg
발사 ; 1984년 12월 15일
베가 1호는 1985년 6월 11일에 핼리 혜성을 향해 가는 도중에 금성을 지나갔다. 베가 1호는 금성의 대기의 가운데 층의 구름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탐사봉을 낙한산으로 금성 대기 중에 투하하였다. 이 탐사봉의 토양 실험은 실패했지만 탐사봉이 낙하하는 동안에 고도 54 km 지점에서 약 48시간 동안 떠 있었다. 베가 1호가 핼리 혜성을 만난 것은 1986년 3월 6일 이었다.


◎ 베가 2호

소련의 금성과 핼리 혜성 탐사선, 4,000 kg
발사 ; 1984년 12월 21일
베가 2호는 1985년 6월 15일에 핼리 혜성을 향해 가는 도중에 금성을 지나갔다. 베가 1호는 금성의 대기의 가운데 층의 구름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탐사봉을 낙한산으로 금성 대기 중에 투하하였다. 금성 표면에 도달한 탐사봉의 토양 실험은 통해 지구에서는 희귀하지만 달의 고지대에서 자주 발견되는 anorthosite-trotolite 암석을 분석해 냈다. 베가 2호가 핼리 혜성을 만난 것은 1986년 3월 9일 이었다.



◎ 마젤란
미국의 금성 탐사선, 3,545 kg
활동 ; 1989년 5월 4일 - 1994년
마젤란 탐사선은 우주 왕복선이 궤도까지 싣고 ?94년
마젤란 탐사선은 우주 왕복선이 궤도까지 싣고 올라가 지구 궤도에 진입시킨 다음 금성궤도로 향하였다. 마젤란은 두터운 구름 때문에 광학 망원경으로는 관찰할 수 없는 금성 표면의 지형을 레이다를 이용하여 관측하는 것이 주임무였다. 1990년 8월 10일 금성 궤도에 도착한 마젤란 탐사선은 금성 표면의 99 %의 지도를 작성하고 1994년에 금성 대기로 뛰어 들어 화려한 불꽃으로 일생을 마쳤다.




화성탐사

◎ 마르스 1960A

소련의 화성 탐사선
발사: 1960년 10월 10일
지구궤도에 진입하는데 실패하였다.


◎ 마르스 1960B

소련의 화성 탐사선
발사: 1960년 10월 14일
지구궤도에 진입하는데 실패하였다.


◎ 마르스 1962A

소련의 화성 탐사선
발사: 1960년 10월 10일
지구궤도를 떠나는데 실패하였다.


◎ 마르스 1호

소련의 화성 탐사선, 893 kg
발사: 1962년 11월 2일
도중에서 통신이 두절되었다.


◎ 화성 1962B

소련의 화성 탐사선
발사: 1962년 11월 4일
지구궤도에 진입하는데 실패하였다.


◎ 마리너 3호

미국의 화성 탐사선
발사: 1964년 11월 5일
태양전지가 펴지지 않아서 실패하였다.


◎ 마리너 4호

미국의 화성 탐사선: 260 kg
활동: 1964년 11월 28일 - 1967년 12월 20일
마리너 4호는 1965년 7월 14일 화성궤도에 도달하여 화성의 9,920 km 상공을 통과하였다. 마리너 4호는 크레이터가 많이 보이는 22 장의 화성 표면 사진을 전송하였다. 주로 이산화 탄소로 이루어진 엷은 대기층의 대기압이 5- 10 mb 라는 것을 알아냈고, 약한 자기장도 감지해냈다.


◎ 존드 2호

소련의 달 탐사선
발사: 1964년 11월 30일
도중에서 통신이 두절되었다.


◎ 마리너 6호

미국의 화성 탐사선: 412 kg
발사; 1969년 2월 24일
마리너 6호는 화성궤도에 도달하여 화성의 적도상공을 3,37 km 위로 통과하였다. 마리너 6호와 7호는 화성의 적도 지방의 표면, 온도, 대기상태 등을 조사하였다. 마리너 6호는 200 여장의 화성 표면 사진을 전송하였다.


◎ 마리너 7호

미국의 화성 탐사선: 412 kg
발사: 1964년 3월 27일
마리너 4호는 1969년 8월 5일 화성궤도에 도달하여 화성의 남극의 3,551 km 상공을 통과하였다. 마리너 6호와 7호는 화성의 적도 지방의 표면, 온도, 대기상태 등을 조사하였다. 마리너 6호는 200 여장의 화성 표면 사진을 전송하였다.


◎ 마리너 8호

미국의 화성 탐사선
활동: 1971년 5월 8일
지구 궤도에 도달하는데 실패하였다.


◎ 코모스 419

소련의 화성 탐사선
발사: 1971년 5월 10일
지구 궤도를 탈출하는데 실패하였다.


◎ 마르스 2호

소련의 화성 탐사선, 4,650 kg
발사: 1971년 5월 19일
마르스 2호 탐사선은 화성 궤도에 도달하여 1971년 11월 27일에 착륙선을 화성 표면에 내려 보냈다. 그러나 착륙선은 브레이킹 로켓의 고장으로 화성표면에 충돌하였다. 이것은 인간이 화성 표면에 남긴 최초의 상처였다.


◎ 마르스 3호

소련의 화성 탐사선, 4,643 kg
발사: 1971년 5월 28일
마르스 3호 탐사선은 1971년 12월 2일에 화성 궤도에 도달하여 착륙선을 화성에 안착시켰다. 이것은 화성에 착륙한 첫번째의 탐사선이었다. 착륙선은 착륙 후에 20초 동안 자료를 모선에 전송하다가 중단 하였다. 그러나 화성 궤도를 돌고 있던 모선은 1972년 8월까지 자료를 지구로 송신했다. 마르스 3호는 화성 표면의 온도 및 대기의 조성을 조사 하였다.


◎ 마리너 9호

미국의 화성 탐사선: 974 kg
발사: 1971년 5월 30일
마리너 9호는 1971년 11월 3일 화성궤도에 도달하여 화성 궤도에 진입하였다. 마리너 9호가 화성궤도에 도달하였을때 화성에는 엄청난 먼지 폭풍이 불고 있었다. 이 먼지 폭풍이 가라 앉을 때까지 여러 가지 실험이 연기되었다. 마리너 9호는 화성의 위성인 포보스와 데이모스의 자세한 사진을 찍어 보냈고, 강과 같은 지형을 화성 표면에서 발견하기도 하였다. 마리너 9호는 아직까지 화성 궤도를 돌고 있다.


◎ 마르스 4호

소련의 화성 탐사선, 4,650 kg
발사: 1973년 7월 21일
마르스 4호는 1974년 2월에 화성 궤도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기계고장으로 화성 궤도에 진입하는 데는 실패했다. 따라서 화성에서 2,200 km 떨어진 지점을 통과하서 약간의 사진을 찍어 전송하였다.


◎ 마르스 5호

소련의 화성 탐사선, 4,643 kg
발사: 1973년 7월 25일
마르스 5호는 1974년 2월 12일에 화성 궤도에 진입하였다. 마르스 5호는 마르스 6호와 7호의 임무를 위한 자료를 수집히여 전송하였다.


◎ 마르스 6호

소련의 화성 탐사선, 4,650 kg
발사: 1973년 8월 5일
마르스 6호는 1974년 3월 12일에 화성 궤도에 도달하여 착륙선을 내려 보냈다. 착륙선은 대기 중을 하강하면서 대기에 관한 자료를 보냈으나 내려가는 도중에 통신이 두절되었다.


◎ 마르스 7호

소련의 화성 탐사선, 4,650 kg
발사: 1973년 8월 9일
마르스 7호는 화성궤도 진입에 실패 하였다.


◎ 바이킹 1호

미국의 화성 탐사선: 3,399 kg
활동: 1975년 8월 20일 -1980년 8월 7일
바이킹 1호와 2호는 마리너 계획의 후속으로 진행되었다. 이들은 화성궤도를 돌고 있는 모선과 착륙선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모선의 무게는 900 kg 이었고 착륙선의 무게는 600 kg 이었다. 바이킹 1호는 1976년 6월 19일에 화성 궤도에 진입하였고, 착륙선은 1976년 7월 20일에 화성 표면에 착륙하였다. 바이킹 1호와 2호는 화성에서 미세한 유기물을 탐사하는 것이 주임무의 하나였다. 이들 탐사선의 실험 결과는 아직도 토론 중에 있다. 바이킹 1호와 2호는 화성 표면의 생생한 칼라사진을 전송하여 일반인들도 화성 표면의 모습을 쉽게 대할 수 있도록 했다. 이들은 또한 화성의 기후 변화도 측정하였다. 모선은 화성궤도를 돌면서 52,000 장의 화성 표면 사진을 찍어 화성의 지도를 작성하였다. 바이킹 1호의 모선은 1980년 8월 7일 통신이 종료되었고, 착륙선은 1982년 11월 13일에 통신이 갑자기 중단된 후 재개되지 않았다.


◎ 바이킹 2 호

미국의 화성 탐사선: 3,399 kg
활동: 1975년 9월 9일 -1978년 7월 25일
바이킹 1호와 2호는 마리너 계획의 후속으로 진행되었다. 이들은 화성궤도를 돌고 있는 모선과 착륙선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모선의 무게는 900 kg 이었고 착륙선의 무게는 600 kg 이었다. 바이킹 2호는 1976년 7월 4일에 화성 궤도에 진입하였고, 착륙선은 1976년 8월 7일에 화성 표면에 착륙하였다. 바이킹 1호와 2호는 화성에서 미세한 유기물을 탐사하는 것이 주임무의 하나였다. 이들 탐사선의 실험 결과는 아직도 토론 중에 있다. 바이킹 1호와 2호는 화성 표면의 생생한 칼라사진을 전송하여 일반인들도 화성 표면의 모습을 쉽게 대할 수 있도록 했다. 이들은 또한 화성의 기후 변화도 측정하였다. 모선은 화성궤도를 돌면서 52,000 장의 화성 표면 사진을 찍어 화성의 지도를 작성하였다. 바이킹 2호의 모선은 1978년 7월 25일 통신이 종료되었다. 그후 바이킹 2호의 착륙선은 1980년 8월 7일에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바이킹 1호의 모선을 이용하여 지구와 통신을 할 수 있었다.


◎ 포보스 1호

소련의 화성 탐사선, 5,000 kg
발사: 1988년 7월 7일
포보스 1호는 화성의 위성 포보스를 탐사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그러나 화성으로 향하는 도중에 통신이 두절되었다.


◎ 포보스 2호

소련의 화성 탐사선, 5,000 kg
발사: 1988년 7월 12일
포보스 2호는 1989년 1월 30일에 화성궤도에 진입하였다. 모선은 포보스에 800 km 까지 접근하였으나 그 후 통신이 두절되었고, 착륙선은 포보스 표면에 착륙하는데 실패하였다.


◎ 마르스 옵저버

미국의 화성 탐사선
발사: 1992년 9월 25일
마르스 옵저버는 1993년 8월 21일 화성 궤도에 진입한 직후 통신이 두절되었다.


◎ 마르스 글로벌 서베이어

미국의 화성 탐사선
발사: 1996년 11월
마르스 글로벌 서베이어 탐사선은 마르스 옵저버 탐사선의 실패 때문에 계획되었다.


◎ 마르스 96

소련의 화성 탐사선, 4,650 kg
발사: 1996년 11월 16일
마르스 96은 1997년 9월 화성궤도에 진입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발사 직후 사고로 270 g 플로토늄을 가지고 칠레 앞바다에 추락하여 가라 앉았다.


◎ 마르스 패스 화인더

미국의 화성 탐사선
발사: 1996년 12월
마르스 패스 화인더는 미국의 독립 기념일인 1997년 7월 4일 착륙하여 소저너라는 이름을 가진 작은 로보트 탐사차가 화성 표면을 움직여 가면서 탐사하여 많은 사진과 자료를 송신하였다. 패스 화인더가 화성 표면에 착륙하고 소저너가 화성 표면에서 탐사활동을 하는 모습은 텔레비젼과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에 중계되어 화성의 생생한 모습을 모든 사람이 대할 수 있었다.


◎ 행성 B

일본의 화성 탐사선
발사: 1998년 7월
일본의 최초 화성 탐사선




목성탐사선

◎ 파이어니어 10호

미국의 목성 탐사선 , 259 kg
발사: 1972년 3월 3일
파이어니어 10호는 1973년 12월 1일에 목성 구름 위 132,250 km 상공을 지나가면서 500여장의 목성과 위성들의 사진을 전송하였다. 또한 파이어니어 10호는 목성의 자기장에 대한 정보와 태양풍과 목성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였다.


◎ 파이어니어 11호

미국의 목성 탐사선 , 259 kg
활동: 1973년 4월 6일 - 1995년 11월
파이어니어 11호는 1974년 12월 1일에 목성 구름 위 42,900 km 상공을 지나가면서 500여장의 목성과 위성들의 사진을 전송하였다. 또한 파이어니어 11호는 목성의 자기장에 대한 정보와 태양풍과 목성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였다. 목성 탐사를 끝낸 파이어니어 11호는 1979년 9월 1일에 토성의 테를 3,500 km 까지 접근하여 통과하였다. 토성 탐사를 끝낸 파이어니어 11호는 우주 속으로 뛰어 들었다.


◎ 보이저 1호

미국의 목성 탐사선 , 800 kg
발사: 1977년 9월 5일
보이저 1호는 1979년 3월 5일에 목성을, 그리고 1980년 11월 12일에 토성을 지나가면서 이들 행성과 위성에 관한 많은 자료와 사진을 전송하였다.


◎ 보이저 2호

미국의 목성 탐사선 , 800 kg
발사: 1977년 8월 20일
보이저 2호는 1979년 7월 9일에 목성을, 그리고 1981년 8월 26일에 토성, 1986년 1월 24일에 천왕성, 1989년 2월에 해왕성을 지나가면서 이들 행성과 위성에 관한 많은 자료와 사진을 전송하였다.



◎ 갈릴레오

미국 유럽 공동의 목성 탐사선, 2,222 kg
발사: 1989년 10월 18일
갈릴레오 탐사선은 목성의 대기와 자기장, 위성을 2년동안 탐사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목성을 향하던 갈릴레오호는 금성의 인력을 이용하여 속도를 높이고 진로를 수정하기 위해 1990년 2월 10일에 금성을 지나갔다. 금성을 지나간 갈릴레오는 1990년 12월 8일과 1992년 12월 8일에 지구와 달을 두 번 지났다. 이 사이에 951번 소행성 가스파라를 1991년 10월 29일에 그리고 243번 소행성 아이다를 1993년 8월 28일에 지나갔다. 목성 궤도에 도착한 갈릴레오는 가지고간 탐사봉을 목성대기 속에 투하하고 목성의 대기와 위성에 대한 활발한 탐사활동을 벌였다.




토성탐사

◎ 파이어니어 11호

미국의 태양계 탐사선 , 259 kg
활동: 1973년 4월 6일 - 1995년 11월
파이니어 11호는 1974년 12월 1일에 목성 구름 위 42,900 km 상공을 지나가면서 500여장의 목성과 위성들의 사진을 전송하였다. 또한 파이어니어 11호는 목성의 자기장에 대한 정보와 태양풍과 목성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였다. 목성 탐사를 끝낸 파이어니어 11호는 1979년 9월 1일에 토성의 테를 3,500 km 까지 접근하여 통과하였다. 토성 탐사를 끝낸 파이어니어 11호는 우주 속으로 뛰어 들었다.


◎ 보이저 1호

미국의 태양계 탐사선 , 800 kg
발사: 1977년 9월 5일
보이저 1호는 1979년 3월 5일에 목성을, 그리고 1980년 11월 12일에 토성을 지나가면서 이들 행성과 위성에 관한 많은 자료와 사진을 전송하였다.


◎ 보이저 2호

미국의 태양계 탐사선 , 800 kg
발사: 1977년 8월 20일
보이저 2호는 1979년 7월 9일에 목성을, 그리고 1981년 8월 26일에 토성, 1986년 1월 24일에 천왕성, 1989년 2월에 해왕성을 지나가면서 이들 행성과 위성에 관한 많은 자료와 사진을 전송하였다.


◎ 카시니/호이겐스

미국과 유럽의 공동 토성 탐사선
발사: 1997년 10월 20일
토성도착: 2004년 7월




천왕성탐사

◎ 보이저 2호

미국의 태양계 탐사선 , 800 kg
발사: 1977년 8월 20일
보이저 2호는 1979년 7월 9일에 목성을, 그리고 1981년 8월 26일에 토성, 1986년 1월 24일에 천왕성, 1989년 2월에 해왕성을 지나가면서 이들 행성과 위성에 관한 많은 자료와 사진을 전송하였다.




해왕성탐사

◎ 보이저 2호

미국의 태양계 탐사선 , 800 kg
발사: 1977년 8월 20일
보이저 2호는 1979년 7월 9일에 목성을, 그리고 1981년 8월 26일에 토성, 1986년 1월 24일에 천왕성, 1989년 2월에 해왕성을 지나가면서 이들 행성과 위성에 관한 많은 자료와 사진을 전송하였다.




명왕성탐사

◎ 플루토 익스프레스

미국의 명왕성 탐사선
발사: 2001년
플루토 익스프레스는 2001년에 발사되어 2013년에 명왕성에 15,000 km 까지 접근할 예정이다.




내용출처 : [도서] 김충섭,우주의 발견

저는 이걸 네이버 푸푸놀이님의 블로그에서 펐습니다.
추천0 비추천0
Loading...

댓글목록

스피넬님의 댓글

스피넬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같은 이름을 가진 탐사선들이 의외로 많았군요. 특히 눈에 띄는건 소련의 탐사선들. 미소 냉전체제가 무너지지 않았다면 우주개발은 어떤 판도로 변했을까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Total 4,313건 27 페이지
행 성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비추천 날짜
3793 buf63…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06 0 0 09-28
3792 썰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86 0 0 10-01
3791 buf63…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61 0 0 10-01
3790
태양계 사진 댓글+ 1
buf63…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57 0 0 10-03
3789 mo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12 0 0 10-05
3788 토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33 0 0 10-05
3787 토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55 -1 0 10-05
3786 buf63…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31 0 0 10-06
썰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12 0 0 10-10
3784 썰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60 0 0 10-10
3783 썰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34 0 0 10-10
3782 mo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70 0 0 10-10
3781 mo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17 0 0 10-10
3780 buf63…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77 0 0 10-12
3779 buf63…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61 0 0 10-13
3778 페가수소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2 0 0 10-15
3777 썰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84 0 0 10-15
3776
블랙홀 댓글+ 3
썰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20 0 0 10-15
3775 썰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39 0 0 10-15
3774 페가수소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0 0 10-16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구글 OTP 인증 코드 입력

디바이스에 앱에서 OTP 코드를 아래에 입력합니다.

OTP 를 잃어버렸다면 회원정보 찾기시 해지 되거나,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이메일 인증으로 해지 할수 있습니다.

OTP 해지하기

론건맨 상위 순위 10

  • 1 사라랜스404,661
  • 2 선상반란302,220
  • 3 eggmoney119,597
  • 4 샤논115,847
  • 5 nabool100,950
  • 6 바야바96,006
  • 7 차카누기94,503
  • 8 기루루89,247
  • 9 뾰족이87,995
  • 10 guderian008387,125

설문조사

론건맨 싸이트가 열리는 체감 속도는 어떤가요.?

설문조사

론건맨이 부활한 것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접속자집계

오늘
1,093
어제
1,586
최대
2,581
전체
14,304,467
론건맨 요원은 31,003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