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천문학자들, 은하계에 지구 같은 행성 50개 > 행 성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행 성

英 천문학자들, 은하계에 지구 같은 행성 50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730회 작성일 04-04-02 16:58

본문

英 천문학자들, 은하계에 지구 같은 행성 50개



은하계에서 행성계를 가진 별중 절반 가량인 약 50개의 별(항성)이 지구처럼 물과 생명체가 있는 행성을 거느리고 있을 수 있다고 영국의 천문학자들이 밝혔다.

천문학자들은 행성이 지나갈 때 중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별들의 흔들림을 관찰한데 힘입어, 그간 105개의 별들이 행성계를 거느렸다는 것을 발견했다.




영국의 개방대학인 '오픈 유니버시티'가 최근 실시한 연구 결과, 천문학자들은 이 105개 행성계 중 약 50개가 물과 생명체가 있는 지구 같은 후보 행성들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천문학자들은 우주 망원경의 발달로 앞으로 15년 내에 이 행성들을 관찰하고 조사해 생명체가 실제로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행성계에 지구 같은 행성이 존재하는 것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들은, 별과 그 주변을 도는 행성간에 일정한 거리가 있어야 하고, 목성 같은 커다란 행성이 별 주변을 돌아야 한다.

적절한 거리가 있어야 하는 이유는 행성이 별에 너무 가까우면 행성의 바다가 뜨겁게 끓고, 너무 멀면 행성의 바다가 얼어버려 생명체가 살 수 없기 때문이다. 너무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이 위치를 천문학 용어로 '골디록지역'이라고 부른다.

또 목성 같은 큰 행성이 별 주변을 돌아야 하는 이유는 지구 같은 행성과 그 위의 생명체에 쏟아져 내릴 소행성과 혜성의 충격을 저지해줄 수가 있기 때문이다.

'오픈 유니버시티'의 천문학자들은 이번 연구에서 이같은 점들을 감안해 이미 알려진 9개 행성계의 컴퓨터 모델을 개발해 지구를 '골디록지역'에 밀어넣었다.

그 결과 어떤 행성계들에서는 목성 같은 행성 하나, 혹은 여러 개가 컴퓨터 상의 지구를 '골디록지역' 밖으로 밀어냈으나, 다른 일부 행성계들에서는 이 가상 지구가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골디록 지역'으로 옮겨가는 것을 발견했다고 천문학자들은 말했다.

왕립천문협회는 "이번 분석 결과는 지금까지 알려진 외계 행성계 중 약 절반 정도에서, 생명체 서식이 가능한 '골디록지역'의 최소한 일부를 현재 돌고 있고, 최소 10억년 이상 이 지역에 있어온 지구 같은 행성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생명체가 발생해 뿌리를 내리는 데는 최소한 10억년이 걸리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파리 AFP=연합뉴스)

http://news.joins.com/it/200404/02/200404021225299772700073007310.html
추천1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39건 2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sunjang.com.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