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성단 무리’ 한국 과학자들 첫 발견 > 행 성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행 성

‘구상성단 무리’ 한국 과학자들 첫 발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지식탐험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3건 조회 1,269회 작성일 10-03-12 20:22

본문

사이언스誌 12일 발표

추측만 했을 뿐 20여 년 동안 찾지 못했던 ‘우주의 방랑자’를 한국인 과학자들이 처음으로 발견했다.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이명균 교수와 박홍수 황호성 연구원은 11일 “은하와 은하 사이를 떠돌아다니는 구상성단 무리를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2일자에 발표된다.

구상성단은 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천체로 약 100만 개의 별이 축구공처럼 둥글게 모여 있다. 평균 나이가 120억 년이나 된다. 그동안 구상성단은 은하 안에서 주로 발견돼 왔으며 은하 사이에 구상성단들이 무리지어 있는 모습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alba01201003112217570.jpg
처녀자리 은하단에 분포하는 구상성단의 밀도를 나타낸 지도. 붉은 부분에 구상성단이 가장 많고 노란색 초록색 하늘색으로 갈수록 적어진다. 은하 사이를 떠도는 방랑자 구상성단은 초록색과 하늘색 부분에 분포한다. 서울대 제공


이 교수는 “지구에서 5400만 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은하들의 사이에서 구상성단들이 무리지어 있는 모습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며 “구상성단 무리의 전체 크기가 수백만 광년 규모로 거대하다”고 밝혔다. 광년은 빛이 1년 동안 갈 수 있는 거리를 말한다.

연구팀은 미국 뉴멕시코 주에 있는 지름 2.5m 크기의 천체망원경과 정밀 디지털 카메라, 분광기를 사용해 얻은 관측 자료를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이 교수는 “구상성단은 우주 탄생 후 가장 빨리 태어난 천체이기 때문에 별과 은하의 탄생, 진화 과정의 비밀을 밝힐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동아일보 / 김상연 동아사이언스 기자 dream@donga.com
http://news.donga.com/Culture/V_topic/3/06/20100312/26791118/1

추천1 비추천0

댓글목록

Total 343건 3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sunjang.com.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