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구진, “외부 DNA 많이 지닌 것이 질긴 생명력의 원동력” 우주 최강 생명체 ‘물곰’의 DNA 밝혀졌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우주에서 가장 질긴 생명력을 지닌 것으로 알려진 '물곰'은 8개의 다리로 엉금엉금 걷는 모습이 곰과 유사해 물곰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제공
우주에서 생명력이 가장 질긴 생물로 알려진 ‘물곰(Tardigrade)’의 비밀이 밝혀졌다.
밥 골드스테인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교수팀은 물곰의 생명력이 질긴 이유가 유전체 속에 외부 유전체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라고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23일 자에 발표했다.
물곰은 크기가 0.1~1㎜에 불과한 작은 무척추 동물로 영하 273도의 차가운 환경이나 151도의 뜨거운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방사성 물질 농도가 생명에게 치명적인 수준의 1000배가 넘는 환경에서도 죽지 않는다. 우주 진공상태에서 며칠을 견디기도 해 우주왕복선에 동승했다가 무사히 돌아오는 등 상상을 뛰어넘는 생명력을 자랑했다.
연구팀은 6000개에 달하는 물곰 DNA를 시퀀싱(염기서열 분석)한 결과, 유전체의 6분의 1 정도(17.5%)가 외부에서 유입됐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생식을 통해 부모에게서 DNA를 물려받는 것이 아니라 박테리아, 식물, 균류로부터 유전자를 전달 받는 '수평적 유전자 이동'이 자주 일어났다는 뜻이다. 대부분의 동물이 외부 유전체를 1% 정도 지니는 것에 비해 막대한 양이다.
또 연구팀은 이러한 특성이 물곰 세포의 특이한 구조에서 기인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매우 건조한 환경에서 물곰의 DNA는 작은 조각으로 깨진다. 세포에 다시 수분이 공급되기 시작할 때 세포막과 핵에 일시적인 구멍이 생겨서 DNA가 쉽게 통과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외부의 DNA가 유입된다는 것이다.
밥 교수는 "외부 유전체의 비율이 높은 것이 생명력에 직결되는 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면서도 "지구에서 수백만 년 이상 살아온 박테리아의 DNA를 많이 지닌 점이 물곰이 극한 환경을 이겨내고 생존하는 데 힘이 되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권예슬 기자 yskwon@donga.com
우주에서 생명력이 가장 질긴 생물로 알려진 ‘물곰(Tardigrade)’의 비밀이 밝혀졌다.
밥 골드스테인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교수팀은 물곰의 생명력이 질긴 이유가 유전체 속에 외부 유전체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라고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23일 자에 발표했다.
물곰은 크기가 0.1~1㎜에 불과한 작은 무척추 동물로 영하 273도의 차가운 환경이나 151도의 뜨거운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방사성 물질 농도가 생명에게 치명적인 수준의 1000배가 넘는 환경에서도 죽지 않는다. 우주 진공상태에서 며칠을 견디기도 해 우주왕복선에 동승했다가 무사히 돌아오는 등 상상을 뛰어넘는 생명력을 자랑했다.
연구팀은 6000개에 달하는 물곰 DNA를 시퀀싱(염기서열 분석)한 결과, 유전체의 6분의 1 정도(17.5%)가 외부에서 유입됐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생식을 통해 부모에게서 DNA를 물려받는 것이 아니라 박테리아, 식물, 균류로부터 유전자를 전달 받는 '수평적 유전자 이동'이 자주 일어났다는 뜻이다. 대부분의 동물이 외부 유전체를 1% 정도 지니는 것에 비해 막대한 양이다.
또 연구팀은 이러한 특성이 물곰 세포의 특이한 구조에서 기인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매우 건조한 환경에서 물곰의 DNA는 작은 조각으로 깨진다. 세포에 다시 수분이 공급되기 시작할 때 세포막과 핵에 일시적인 구멍이 생겨서 DNA가 쉽게 통과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외부의 DNA가 유입된다는 것이다.
밥 교수는 "외부 유전체의 비율이 높은 것이 생명력에 직결되는 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면서도 "지구에서 수백만 년 이상 살아온 박테리아의 DNA를 많이 지닌 점이 물곰이 극한 환경을 이겨내고 생존하는 데 힘이 되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권예슬 기자 yskwon@donga.com
추천11
Loading...
댓글목록
별마음님의 댓글

얘는 보면 볼수록 대단한 동물입니다.
강인하고 질긴 생명력.
이정도의 생명력이 인간에게 주어진다면, 아마도 인간의 역사는 지금과는 하늘과 땅 차이겠지요.

별마음님의 댓글의 댓글

[@별마음]
주위환경이 여의치 않으면 가사상태(假死狀態)로 기회를 엿보다 환경이 좋아지면 다시 움직인다.
7년 동안 가사상태로 있다가 살아난 예도 있다.
정말, 굉장한 녀석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종류는 약 400여종으로, 진드기류에서 유래한 것으로 본다.
<img src=http://previewcf.turbosquid.com/Preview/2014/05/25__11_52_38/1.jpg6b892190-a659-4a7b-ae82-66add26dcdccLarger.jpg>
허순호님의 댓글

이런것이 사람몸속에서도 살까...? 궁금해집니다.
거식이님의 댓글

예전 120년된 물건을 발굴하다가 물에담궈놨더니 물곰이 살아 움직였다는 기사를 본거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