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성 전기가오리 국내 서해상 출현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전기가오리가 우리나라 서해안에 출현했다.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FIRA, 이사장 강영실)은 총허용어획량(TAC) 조사 과정에서 전기가오리 포획과 판매 정황이 포착돼 2일 특이해양생물로 발표했다.
<서해안에서 잡힌 전기 가오리>
전기가오리는 1일 서해 흑산도 부근 해상에서 한 마리가 잡혔다. 길이는 24.5㎝에 무게는 340g으로 포획 후 안면도 백사장 위판장에서 판매됐다.
전기가오리는 제주도와 남해안 연안의 얕은 바다에 주로 서식하는 난 태생 어종이다. 5∼7월경에 5마리 내외의 새끼를 낳아 번식한다. 등 쪽과 배 쪽에서 각각 양, 음 전기를 일으켜 작은 물고기를 감전시켜 잡아먹는다. 발생 전압은 종류에 따라 8∼400V로 알려져 있다.
이승주 FIRA 서해지사장은 “기후 온난화로 수온이 상승하면서 우리나라 연안에 다양한 열대성 어종이 출현하고 있다”며 “수산생물의 변동 사항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나갈 계획”이라 말했다.
http://www.etnews.com/20150602000142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FIRA, 이사장 강영실)은 총허용어획량(TAC) 조사 과정에서 전기가오리 포획과 판매 정황이 포착돼 2일 특이해양생물로 발표했다.
<서해안에서 잡힌 전기 가오리>
전기가오리는 1일 서해 흑산도 부근 해상에서 한 마리가 잡혔다. 길이는 24.5㎝에 무게는 340g으로 포획 후 안면도 백사장 위판장에서 판매됐다.
전기가오리는 제주도와 남해안 연안의 얕은 바다에 주로 서식하는 난 태생 어종이다. 5∼7월경에 5마리 내외의 새끼를 낳아 번식한다. 등 쪽과 배 쪽에서 각각 양, 음 전기를 일으켜 작은 물고기를 감전시켜 잡아먹는다. 발생 전압은 종류에 따라 8∼400V로 알려져 있다.
이승주 FIRA 서해지사장은 “기후 온난화로 수온이 상승하면서 우리나라 연안에 다양한 열대성 어종이 출현하고 있다”며 “수산생물의 변동 사항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나갈 계획”이라 말했다.
http://www.etnews.com/20150602000142
추천2
Loading...
댓글목록
미확인생명체님의 댓글

해수온도가 올라가고 있다는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