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지(符都誌)> - 한단고기에 버금가는 사료 > 자유 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자유 게시판

<부도지(符都誌)> - 한단고기에 버금가는 사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벨리사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728회 작성일 04-10-26 20:15

본문

박제상 지음, 김은수 역주, 한문화, 2002-1.

총 15편으로 구성된 박제상의 저술 <징심록> 가운데 한 편입니다. <징심록>은 영해 박씨 집안에 대대로 전해내려온 책이라 하는데, 안타깝게도 6.25에 즈음하여 월남한 박씨 가문의 전승자 박금 씨가 기억을 더듬어 복원한 이 한 편만 전합니다.

1986년 초판이 나온 지 16년 만에 두 곳의 출판사에서 이 책을 다시 냈습니다. 한 곳은 증산도와 관계가 깊은 대원출판사, 또 한 곳은 뇌호흡(단학선원)과 관계가 깊은 한문화. 대원 쪽 책은 700페이지가 넘는 대작이라 과연 무슨 내용으로 채웠을까 하는 호기심을 자아내지만, 이 책보다 비쌌고 결정적으로 이미 절판되어 어떤 책인지 모르겠군요. 제가 구입한 한문화 판이 4쇄까지 찍은 데 반해 2년도 안 되어 절판되었다는 건 독자들에게 그리 인기가 없었다는 뜻이니, 사실 굳이 찾아볼 필요는 없을지도 모르습니다.

<부도지> 자체의 내용은 정말 한 줌밖에 안 됩니다. 그럼에도 한문화판 이 책도 300페이지를 넘은 것은 매월당 김시습이 쓴 <징심록 후기>, 이 사료를 세상에 내놓은 영해 박씨 후손 박금의 <징심록 연의 후기>, 역자 김은수가 덧붙인 논고 <한국 상대사와 그 문화>가 상당한 분량을 차지하고, 부도지 원문에 붙인 김은수의 주해가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부도지>에서 그려내는 우리 겨레의 시원사는 <한단고기>보다 더 스케일이 크며, 마고성(역자는 파미르고원으로 추정)에서 출발하여 요순시대까지의 기록에서 끝나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중국 사서에서 악행의 대표처럼 그려졌던 순의 아버지 고수(<부도지>에서는 '유호씨(有戶氏)'로 기록)가 단군의 신하로 천부의 학문을 익힌 사상가이자 뛰어난 지도자로 그려져 있다는 점입니다. 오히려 순이야말로 화하족의 꼬임에 넘어가 요에게 벼슬을 했기 때문에 아버지인 유호씨와 반목하게 되었다고 하네요.

아쉬운 점은 선가 사서라는 성격 때문인지, 지나치게 우주 생성원리 등 철학적 문장이 많고(천부경의 원리를 연상시킴) 단조의 역사에 대한 구체적 기록이 <한단고기>에 비해 많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한문 원문을 보니 문장들이 굉장히 쉬운 편인데, 이건 박금씨 자신이 밝혔듯이 영해 박씨 집안에 대대로 전해내려오면서 옮겨쓸 때마다 문장을 고쳤기 때문일 겁니다. 그렇다면 <한단고기>에서 문제가 되는 문장들도, 사실은 위서 논쟁이 일어날 것을 미리 감안하지 못한 필사자의 다듬기 때문이 아닐지... 생각해볼 만한 대목입니다.

사료가치로서 또 하나 아쉬운 점은, 이 책의 원문이 기록문서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영해 박씨 집안에 전해내려온 문서는 함경남도 문천의 박씨 문중 집안에 보관되어 있고, 6.25때 월남한 박금 씨가 기억을 더듬어 복원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기억력이 좋은 사람이라도 외워쓰기를 하면 꼭 한두 군데는 틀리는 곳이 나오기 마련인데, 전란통에 두고 온 몇 년 전의 기록을 과연 완전히 기억해냈을까...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사의 일관성이라든가 문장 스타일이 순전히 상상력으로 지어낸 것 같지는 않습니다. 매월당 김시습의 추기도 신뢰성이 가는 글이고. 분명 우리 상고사의 복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자료이며, <부도지>와 함께 세상에 나오지 못한 <징심록>의 나머지 14편이 속히 발견되기를 기대하게 됩니다.
추천2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4,268건 490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sunjang.com.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