뽀샵 사진 판독해 드립니다"…카이스트 연구팀 개설 웹사이트서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 자유 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자유 게시판

뽀샵 사진 판독해 드립니다"…카이스트 연구팀 개설 웹사이트서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허순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463회 작성일 15-06-11 21:00

본문

한 장의 사진은 많은 것을 말해준다. 촬영 당시 즐거운 기억을 떠올리는 추억이기도 하지만, 법정에선 범죄 사실을 밝혀주는 중요한 증거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디지털 사진이 보편화되고 흔히 ‘뽀샵(정식 제품명은 포토숍)’으로 불리는 사진 보정 프로그램이 널리 보급되면서 합성·조작 논란도 종종 벌어진다.

국내 연구진이 사진 위·변조를 쉽게 알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일반에 공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과 이홍규 교수는 “디지털 사진에서 눈으로 구별하기 어려운 위·변조 부분을 인터넷으로 판독해주는 웹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교수는 “사진 위·변조 탐지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10년 이상 연구가 진행돼왔지만 정확성이 떨어졌다”며 “이번에 개발한 프로그램은 90~95%의 확률로 위·변조 여부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서비스는 웹사이트(forensic.kaist.ac.kr)에 접속하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 교수팀은 국내외에서 개발된 3가지 기법을 통합한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디지털 영상 픽셀 분석’ 기법이다. 사진을 위·변조하면 미세한 점(點)처럼 생긴 픽셀(pixel·이미지를 구성하는 최소단위)이 급격하게 잘라지거나 뭉개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렇게 픽셀이 비정상적으로 분포한 부분이 있다면 위·변조된 사진이라는 것이다. 또 포토숍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압축’과 ‘복원’을 분석하는 ‘포맷 기반 탐지’ 기법, 카메라마다 지문처럼 독특한 무늬가 생긴다는 점을 이용한 ‘카메라 기반 탐지’ 기법 등도 사용했다.

연구팀은 이 프로그램을 이용, 2008년 이란이 공개한 장거리 탄도미사일 ‘샤하브-3호’ 발사 사진이 조작됐다는 점도 밝혀냈다. 당시 이란은 일부 미사일의 발사 실패를 숨기기 위해 사진을 조작, 미사일 숫자를 늘렸다. 하지만 이 사진을 이번에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분석하면 조작된 부분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이 교수는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사진을 올리면 1~2분 내에 3단계 과정을 거쳐 위·변조가 의심되는 부분을 표시해 보여준다”며 “일반에 기술을 공개함으로써 훨씬 더 많은 사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해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94건 4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sunjang.com.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