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역학의 핵심(상보성의 원리) > 자유 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 게시판

양자역학의 핵심(상보성의 원리)

페이지 정보

작성자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댓글 7건 조회 1,449회 작성일 10-11-07 21:36

본문

현대물리학은 20세기의 시작과 거의 동시에 발견된 양자역학상대성이론을 두 기둥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현대물리학의 어떤 분야라도 그 내용을 조금이나마 들여다보려면 이 둘을 어느 정도 이해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은 우리의 일상적인 직관과 무척 다르기 때문에 보통 사람들이 쉽게 이해하거나 익히기가 어렵다.

현대 물리학의 두 기둥 중 하나, 난해한 양자역학
17.jpg

특히 양자역학의 세계는 마치 마법의 세계와도 같다. 양자역학은 과학자들이 원자 이하의 세계를 탐구하면서 발견한 물리이론으로서, 미시적인 아원자 세계를 지배하는 원리이다.

그 규칙이 거시적인 물리규칙과는 너무나 달라,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지식인들은 인간의 언어가 미시세계를 기술하는 데에는 가망이 없을 정도로 적합하지 않은 게 아닐까 하고 생각할 정도였다. 그리고 그런 양자역학이 구축된 지도 벌써 거의 한 세기가 지났으며 그동안 그에 기반한 현대물리학도 눈부신 발전을 거듭했다.

이런 이유로, 양자역학을 잘 모르는 비전공자에게 현대물리학의 성과와 그 의미를 쉽고 짧게 설명한다는 것은 무척 어렵다. 그러나 인간은 생존을 위해 거시적인 세계에 잘 적응하도록 진화해 왔기 때문에 미시 세계의 규칙들을 본능적으로 혹은 직관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하더라도 이상한 일은 아니다. 솔직히 말하자면 양자역학은 물리학자들에게도 어렵다.


1.jpg

현대물리학의 두 기둥,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을 대표하는 두 인물.
닐스 보어(좌)와 아인슈타인(우)

양자역학의 한가운데 있는 상보성의 원리

17.jpg

양자역학이라는 이 난해한 골칫덩어리의 한가운데에 상보성(complementarity)의 원리가 있다. 상보성의 원리는 핵물리학과 양자역학의 태두라 할 수 있는 덴마크의 닐스 보어가 주창하였다. 상보성의 원리를 한마디로 말하자면, 다음으로 요약할 수 있다.

%B0%AD%C1%B6%B1%DB_%B6%F3%C0%CE740-1.jpg

“어떤 물리적 계의 한 측면에 대한 지식은 그 계의 다른 측면에 대한 지식을 배제한다.”

%B0%AD%C1%B6%B1%DB_%B6%F3%C0%CE740-2.jpg

상보성 원리의 예: (1) 위치-운동량의 불확정성

17.jpg

몇 가지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보자. 양자역학은 고전역학과는 달리 불확정성이 지배하는 세상이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것이 불확실한 것은 아니다. 양자역학에서의 불확정성은 하이젠베르크의 유명한 불확정성 원리에 잘 정리가 되어 있다.

%BC%F6%BD%C41.jpg

여기서 Δx는 위치의 불확정성을, Δp는 운동량의 불확정성을 나타낸다. 이 관계식에 의하면 어떤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임의의 정밀도로 정할 수가 없다. 이는 미시세계에서 입자의 위치를 어떻게 정할 것인가의 문제와 관련이 깊다.

거시세계에서 우리가 어떤 물체를 본다는 것은 그 물체에서 튕겨 나오는 빛을 보는 것이다. 미시세계도 마찬가지여서 예컨대 전자의 위치를 알아내려면 그 전자에 빛을 쪼여 그 빛이 튕겨 나오는 양상을 분석하면 된다. 이때 전자의 위치에 대한 해상도를 높여 위치의 불확정성을 낮추려면 파장이 짧은 빛을 이용해야 한다. 짧은 파장을 가진 파동은 그만큼 짧은 거리를 탐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파장이 짧은 빛은 그만큼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파장이 짧은 자외선이나 혹은 X선의 투과력이 높은 것을 생각하면 된다. 만약 전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짧은 파장의 빛을 쬐면 빛의 높은 에너지가 전자에 전달되어 전자의 운동량의 불확정성은 그만큼 늘어난다. 반대로 전자의 운동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긴 파장의 빛을 쓰면 그만큼 해상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전자의 위치에 대한 불확정성은 늘어난다.

이때 우리는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이 서로 상보적인 관계에 있다고 말한다. 고전역학에서는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무제한의 정밀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양자역학에서는 그 두 양을 모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하나의 결과가 다른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즉, 입자의 운동량에 대한 지식은 위치에 대한 지식을 배제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상보성 원리의 예: (2) 입자-파동의 이중성

17.jpg

2-1.jpg

전자가 파동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 전자 회절 사진.


상보성 원리의 또 다른 중요한 예는 입자-파동의 이중성이다. 고전역학의 틀을 마련한 뉴턴은 애초에 빛을 입자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후 하위헌스(Christiaan Huygens, 호이겐스) 등에 이르러 빛이 파동임이 확실해졌고 맥스웰에 의해 빛은 전자기의 파동임이 밝혀졌다. 하지만 1900년 막스 플랑크는 당시 문제가 되었던 흑체복사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빛이 입자처럼 덩어리진 에너지를 가진다고 생각했고 1905년 아인슈타인은 플랑크의 이 가설을 받아들여 광전효과를 성공적으로 설명했다. 이후로 빛은 에너지 덩어리를 가진 광자(photon)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빛은 거시세계에서는 엄연히 파동으로 행동한다. 똑같은 빛이라도 하나하나의 미세한 에너지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상황에서는 덩어리진 에너지를 가진 입자로 행동하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고전적인 전자기파일 뿐이다. 이처럼 물리적 대상이 입자의 성질과 파동의 성질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현상을 입자-파동의 이중성이라고 한다. 입자적 성질과 파동적 성질은 서로 상보적이다. 그래서 이 둘은 서로를 배제한다. 즉, 빛이 입자처럼 행동할 때는 파동의 성질이 사라지고 파동처럼 행동할 때는 입자의 성질이 사라진다.

빛만 그런 것이 아니다. 드브로이(Louis Victor de Broglie, 1892~1987)는 고전적으로는 파동인 빛이 입자처럼 행동하듯이, 고전적인 입자 또한 파동처럼 행동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입자는 자신의 운동량에 반비례하는 파장을 가지는, 일종의 물질파이다. 거시적인 물체들은 운동량이 엄청나게 크기 때문에 물질파의 파장이 너무나 짧아 파동으로서의 성질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미시세계에서는 물질파 파장이 중요해지는 경우가 많아 전자조차도 파동적인 성질을 보인다. 전자가 고전적인 빛처럼 간섭현상을 일으킨다는 사실은 실험적으로도 검증되었다.

상보성 원리의 예: (3) 블랙홀의 딜레마

17.jpg

비교적 최근에는 상보성의 원리가 블랙홀에도 적용되었다. 블랙홀은 중력이 너무나 세기 때문에 빛조차도 그 속에서 빠져나올 수 없는 시공간의 영역이다. 블랙홀에는 지평선이 있어서 이 선을 넘어가면 그 어떤 물체도 다시 되돌아올 수 없다. 그 지평선을 사상의 지평선(혹은 사건의 지평선, Event horizon)이라고 한다.

A가 블랙홀의 지평선을 향해 움직이고 있고, B는 지평선 밖, 블랙홀에 대해 정지된 위치에서 이 현상을 관찰하고 있다고 생각해 보자. A의 입장에서는 그냥 자유낙하하고 있기 때문에 아무런 변화가 없다. 지평선을 지나는 것조차 느끼지도 못한다. 이는 마치 지구 중력장 속에서 자유낙하할 때는 아무런 힘을 느끼지 못하는 것과 똑같다.


그러나 B는 전혀 다른 현상을 목격할 것이다. 우선 A가 지평선 가까이 다가감에 따라 A의 시간은 점점 느려진다. 이는 중력이 점차로 세어지기 때문이다. 이 때 A의 시계만 느린 것으로 관측되는 것이 아니라 A와 관련된 모든 것이 느려진다. 마침내 A가 지평선에 도달하게 되면 B는 A의 시계가 영원히 멈춘 것으로 관측한다.

뿐만 아니라 블랙홀의 지평선 근처는 무척 뜨겁다. 지평선 바로 안쪽에서는 빛을 포함해서 그 어떤 입자도 탈출할 수 없다. 반면 지평선 바로 밖에 있는 입자는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져야만 블랙홀의 중력을 벗어나 지평선 안으로 빨려 들지 않을 것이다. 비록 B에 도달하는 빛의 에너지가 약하더라도 그 빛이 지평선 근처에서는 무척 높은 에너지였음에 분명하다. 블랙홀의 지평선 바로 바깥 영역은 이처럼 높은 에너지의 입자들로 가득하다. 따라서 B가 보기에 A는 이 영역을 지날 때 온몸이 타버릴 것이다.


3.jpg

블랙홀에 빠지는 사람과 관찰자 사이의 딜레마도 상보성의 원리로 설명된다.
<출처: Nasa>

만일 A가 사람이라면 B는 A가 지평선에 도달하는 순간, 발부터 서서히 타들어가는 현상을 보게 될 것이다. 또 B가 보기에 A의 신체 그 어떤 일부도 지평선을 넘어가는 일은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 반면 A 자신에게는 지평선이 물리적으로 아무런 의미가 없는 가상의 선에 불과하다. 물론 A가 블랙홀에 가까이 도달하면 그의 몸은 발과 머리 사이의 중력의 차이로 인해 짓이겨질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점차 일어나는 현상일 뿐, 사상의 지평선을 넘어가는 순간 극적으로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지평선을 지나가는 A는 지평선을 지나갔는지조차도 모르고 그냥 자유낙하할 뿐이다. 반면 B는 A가 지평선에 다가감에 따라 모든 현상이 느려지며 뜨거운 불기둥에 다 타버리는 현장을 목격하게 된다. 언뜻 보기에 모순인 이 현상을 스탠포드 대학의 물리학자 서스킨드(Leonard Susskind 1940~)는 상보성의 원리로 설명했다. 블랙홀의 지평선은 물리적인 단절을 의미한다. 지평선의 이쪽과 저쪽에 있는 사람들은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가 없다. 그래서 누구라도 지평선의 이쪽에 있거나 혹은 저쪽에 있거나 둘 중의 하나일 수밖에 없다. 이는 마치 입자가 파동의 성질이나 혹은 입자의 성질 가운데 한 가지만 드러낼 수밖에 없는 경우와 같다.

상보적 원리의 핵심, 물리적 양상은 OR로 구현된다

17.jpg

상보성 원리의 핵심은 서스킨드가 지적했듯이 물리적 양상이 AND가 아니라 OR로 구현된다는 것이다. 위치 혹은 운동량, 입자 혹은 파동, 그리고 지평선 이쪽 아니면 저쪽. 보어는 상보성의 원리를 물리세계 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현상이나 물리화학적 현상에도 적용하려고 했었다. 한번은 누군가가 보어에게 ‘진실’의 상보적 속성은 무엇인가 하고 물었다. 여러분이라면 어떻게 대답했겠는가? 보어의 답변은 ‘명료함’이었다고 한다.


출처 : 이종필 / 연세대학교 물리학과 연구원

추천0 비추천0
Loading...

댓글목록

겜블러님의 댓글

겜블러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p>블랙홀...요놈도...밑에..밑에..밑의 상대성에 대한 댓글처럼......<br />심도있게 토론해보고 싶은넘........<br /><br />미스테리한 존재는 분명 아니고...확실한 답이 있는넘인데.......<br />블랙홀답게..이것저것...끌여들여.....<br />미스테리로 둔갑해버린넘.......</p>

메리아빠님의 댓글

겜블러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8860|1--] <p>블랙홀 하나만 다루어도 <br />토론 할게 무궁무진 할것 같군요.......</p><p>10월달에 올라온 블랙홀 자료하나는.....<br />모든 블랙홀 마다 우주가 한개 씩 있을 수도 있다고 하는 자료가 있더군요 .....ㅎㅎㅎ<br />믈랙홀은 정말 흥미로운 존재 같습니다....</p>

그대에게님의 댓글

겜블러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p>비슈느님~ 좋은 자료들의 행진과 비슈느님의 열성에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br /><br />음... 그런데 드브로이가 입자들의 파동량이 밀도를 가진 것으로 주장한 건 맞으나 <br />연구원 이 종필님이 '상보성 원리의 예(2)에서,<br />"<font color=#006bd4>그에 따르면 입자는 자신의 운동량에 반비례하는 파장을 가지는, 일종의 물질파이다</font>."라는 <br />결론으로 글을 마무리 짓는다면 보른이나 보어가 아주 섭섭해 할 것입니다~ ^^<br />현재 입자의 파동은 밀도파로 해석되는게 아니니까요.<br /></p><p>나중에 아주 거친(?) 논란을 겪은 후에 <br />보른은 입자의  파동량은 임의의 위치와 시간에서 그 입자가 발견될 확률로 해석이 되었고 <br />그렇게 인정을 받게 되었지요.</p><p>이것은 마치 주사위를 던져서 6면중의 홀수가 나올 확률을 계산하는 것과 유사합니다.<br /><br />이때 아인슈타인은 그 유명한 한 마디를 섞어서 편지에 적은 후 '보른'에게 보내버립니다. <br />"신은 주사위 놀음을 하지 않는다!!"<br />(이 "!!" 는 당시 아인슈타인의 불쾌감을 간접적으로 표현했습니다~ ^^)</p><p>이후 아인슈타인은 같은 "보"씨 돌림인 '보어'가 아인슈타인 자신이 만든 상대성 이론을 역으로 이용하여 <br />입자 파동 논쟁의 종지부를 찍게 함으로써 또 한번 굴욕을 당하게 됩니다.</p><p>즉, 입자의 파동은 여러 종류의 파동이 확률적으로 겹쳐있는 상태이지만 <br />관측자가 입자의 측정을 시도할 경우 그 나머지 파동들은 소멸되고 <br />측정된 입자의 파동만 하나의 바늘처럼 높은 확률로 발견된다는 것입니다.</p><p>이 해석은 가장 영향력이 큰 정통 해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br />이른바, '코펜하겐의 해석'으로 지금까지 불리워지고 있습니다~</p><p>어쨋든 아인슈타인은 플랑크의 양자가설을 받아들여 광전 효과를 발견하고 노벨상까지 탔지만<br />입자의 확률적 발견은 죽을 때까지 인정을 하지 않았다고 하는군요~ ^^<br /><br /><br />이러한 격렬한 논쟁들이 이뤄진 장소가 어떤 심각한 회의장같은 곳이 아니고<br />아이러니컬하게도 당시 솔베이 물리학회가 개최된 벨기에 어느 호텔 로비 의자에서였다고 하니까 <br />당대 대가들의 대화가 대단한 장소가 아니였음에 저같은 평민은 다시 한번 놀랄 뿐입니다.</p><p>비슈느님이 올린 아인슈타인, 보어 사진이 바로 그런 장소인 것 같고 그런 대화가 오가는 것 같네요~<br /><br />"<font color=#006bd4>형님, 양자 운동은 말입니다. 확률에...</font>"  "<font color=#008e37>으으... 말도 안되는 니 말이 이젠 너무 너무 지겨워~</font> "<br /><table class=NHN_Layout_Main cellSpacing=0 cellPadding=0><tbody><tr><td class=NHN_Layout_Space width=20><br /></td><td class=NHN_Layout_Preset vAlign=top><table style="WIDTH: 359px; HEIGHT: 207px" class="Basicborder NHN_Layout"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359 height=207><tbody><tr><td style="VERTICAL-ALIGN: top" class="NHN_Layout_Preset m-tcol-c"><p><img id=0129abb3ce8f0012831d9096 class="_attachment _photo" src="http://ncc.phinf.naver.net/ncc01/2010/7/7/252/1.jpg" /></p></td></tr></tbody></table></td></tr></tbody></table></p>

dogmai님의 댓글

겜블러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8865|1--]^^ 그대에게 님은 다방면에 지식이 많으시군요. 입자가 관측자의 시도에 반응하는 것처럼 들리는군요 입자가 어찌 알았을까요 이에 과학적 다른 풀이가 있는지요

그대에게님의 댓글

겜블러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p>감사합니다~<br /><br />어쩌면 dogmai님 말씀대로 입자가 관측자의 시도에 반응한다는 표현이 딱 어울리는 것 같네요~<br /><br />두개의 슬릿을 통과한 하나의 광자가 공간에서는 파동처럼 행동하다가 <br />스크린에 부딪히면 입자의 흔적으로 발견됩니다. <br />빛의 전형적인 이중성이지요.</p><p>위 자료에도 잘 설명이 되어있지만 아인슈타인은 <br />빛이 파동의 성격을 갖고 있지만 입자로써의 성격도 갖고 있다는 것을 광전 효과로 증명해냈습니다.<br />플랑크의 양자가설에서 힌트를 얻은 거죠.</p><p>그러자 드브로이는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응용하여 전자같은 입자는 파동의 성격을 가진다는 <br />입자의 파동설을 논문으로 발표합니다.<br />당대의 천재 아인슈타인이 이 이론에 찬사를 보냈고 드브로이는 아인슈타인의 인정속에 <br />순식간에 유명인의 반열(?)에 오르고요.</p><p>이에 질세라 슈뢰딩거는 두 이론을 통합하여 파동역학을 완성시키지요.<br /><br />그렇다면 dogmai님의 의문처럼 입자의 발견은 어떻게 풀이될까요?<br /><br />만약 입자가 고정되어있다면 발생되는 파장은 직선으로 나아가겠지만<br />입자가 진동을 한다면 파장도 구면파를 이루며 나아가게 될 것입니다.<br /><br /><img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auto auto 15px; WIDTH: 605px; DISPLAY: block; HEIGHT: 195px" class=image_mid border=0 src="http://pds18.egloos.com/pds/201011/09/71/a0113471_4cd931870a0d7.jpg" egloo="605|195|605|195|IMAGE|pds/201011/09/71/|mid" /><br />입자는 이렇듯 파동으로 설명되는데 그 발견될 확율은 구면파의 마루 부분과 골 부분으로 나뉘면서<br />이 마루 부분에서는 입자의 발견 확률이 높아지고 골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발견 확률이 낮아집니다.<br /><br />여기서 유의해야할 것은 이 파동이 입자들이 몰려다니는 밀도파가 아니라는 것이죠.<br /><br />만약 이 마루 부분에서 입자가 발견되면 구면파는 바늘과 같은 하나의 파형으로 변한다는 것입니다.<br /><img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auto auto 15px; WIDTH: 182px; DISPLAY: block; HEIGHT: 227px" class=image_mid border=0 src="http://pds20.egloos.com/pds/201011/09/71/a0113471_4cd9314190b39.jpg" egloo="182|227|182|227|IMAGE|pds/201011/09/71/|mid" />이것이 코펜하겐의 해석의 내용입니다.<br /><br />그렇다면 사전적인 의미를 한번볼까요? <br />찾아보았습니다.<br /><br /><font color=#006bd4>1. 입자의 상태는 </font><a href="http://dic.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dic&amp;sm=ncc_clk&amp;query=%uD30C%uB3D9%uD568%uC218" target=_blank><u><font color=#006bd4>파동함수</font></u></a><font color=#006bd4>에 의해 결정되며, <span>파동함수의 제곱은 측정값에 대한 확률밀도를 나타낸다. </span></font><span><font color=#006bd4>2. 모든 물리량은 관측이 가능할 때만 의미를 가진다. 물리적 대상이 가지는 물리량은 관측과 관계없는 객관적인 값이 아니라 관측 작용의 영향을 받는 값이다. <br /></font></span><span><font color=#006bd4>3. 서로 관계를 가지는 물리량들은 하이젠베르크가 제안한 </font><a href="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amp;sm=ncc_clk&amp;query=%uBD88%uD655%uC815%uC131%20%uC6D0%uB9AC" target=_blank><u><font color=#006bd4>불확정성 원리</font></u></a><font color=#006bd4>에 따라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br /></font></span><span style="FONT-SIZE: 9pt"><font color=#006bd4>4. 전자와 같은 입자들은 입자의 성질과 파동의 성질을 상보적으로 가진다.<br /></font></span><span style="FONT-SIZE: 9pt"><font color=#006bd4>5. 양자 도약이 가능하다. <br />양자 물리학적으로 허용된 상태들은 불연속적인, 특정한 물리량만 가질 수 있다.</font> <br /></span><font color=#006bd4><span>따라서 </span><span style="FONT-SIZE: 9pt">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하기 위해서는 한 상태에서 사라지고 동시에 다른 상태에서 나타나야 한다.</span><br /></font><br />머리가 많이 지끈거리죠? ㅎㅎㅎ<br /></p>

Total 183건 3 페이지
자유 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비추천 날짜
143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2 0 0 11-18
142
스카이라인 댓글+ 12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71 0 0 11-16
141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0 0 11-11
140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4 0 0 11-11
139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53 0 0 11-09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50 0 0 11-07
137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0 0 11-07
136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2 0 0 11-07
135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68 0 0 11-03
134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70 0 0 11-03
133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41 0 0 11-03
132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53 0 0 10-28
131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0 0 10-28
130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79 0 0 10-28
129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77 0 0 10-27
128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0 0 10-25
127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0 0 10-25
126
맨인블랙 댓글+ 8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8 0 0 10-25
125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4 0 0 10-24
124 비슈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40 0 0 10-23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구글 OTP 인증 코드 입력

디바이스에 앱에서 OTP 코드를 아래에 입력합니다.

OTP 를 잃어버렸다면 회원정보 찾기시 해지 되거나,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이메일 인증으로 해지 할수 있습니다.

OTP 해지하기

론건맨 상위 순위 10

  • 1 사라랜스403,351
  • 2 선상반란302,220
  • 3 eggmoney119,347
  • 4 샤논115,847
  • 5 nabool100,720
  • 6 바야바95,556
  • 7 차카누기94,273
  • 8 기루루88,907
  • 9 뾰족이87,735
  • 10 guderian008386,895

설문조사

론건맨 싸이트가 열리는 체감 속도는 어떤가요.?

설문조사

론건맨이 부활한 것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접속자집계

오늘
1,852
어제
2,473
최대
2,581
전체
14,289,998
론건맨 요원은 31,003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