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도 연기처럼 사라질까요? > 자유 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 게시판

전파도 연기처럼 사라질까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댓글 6건 조회 665회 작성일 13-05-16 15:42

본문

요즘 5G 통신방식이 한창 개발중이라고 합니다.

초당 전송량이 몇기가 라고하죠..최소..

전파가 날라가는 속도가 얼마인지는 모르지만 한번 쏘아놓으면 어디론가 언젠가는 도달하거나 전송이되겠죠

여기서 궁금한것은...전파가 날라가는 거리가 무한대이냐는것이죠.

어떤 다큐에서 보면 몇십년전 쏘았던 전파(라디오방송)이 우리 은하를 거쳐 이웃은하까지 날라가서 거기서 수신이 된다면

들린다는 다큐를 본적이 있는데요. 그 이상의 거리를 날라갈수있는지

아니면 날라가다가 어느순간 연기처럼 사르르~ 사라지는지 궁금하네요.

안사라진다면 5G통신방식으로 지구에서 달이나 화성으로 전파를 주고받게된다면

얼마나 획기적인가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전파는 연기처럼 사라지는지 궁금하네요.~~

추천0 비추천0
Loading...

댓글목록

사과향기님의 댓글

사과향기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p>만약 사라지지않고 계속 떠돌게된다면...<br />지구 내에서 주인을 잃어버린 수신못한 전파들이 기약없이 떠돌고있을텐데요..</p><p>그런 전파들을 잡아들여 엿볼수도 있지 않는가 하는 생각을 잠시 해보네요.</p><p>그 전파가 1년전꺼든 10년전꺼든 말이죠. 혹..</p><p>100년전 수신안된 전파가 있다면 지금 기술로 잡아낼수있지 않을까요? 마치 타임머신기계처럼요.^^*</p><p>또한 그런 전파를 잡아 저장해놓았다가 다시 재 전송할수있는 기술..</p><p>그러니까 주인잃은 전파를 깡통에 전파형태로 잡아놓았다가 </p><p>언젠가 그 깡통을 여는 순간 스르르 깡통에서 연기처럼 전파가 흘러나와 다시 허공으로 흩어져 떠돌아다니는건 아닐까 하는 상상..^^*</p><p>또 궁금한것은 전파는 광속으로 날아간다고 하네요. 사전적 의미에서요...</p><p>그렇다면 전파가 어떤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서 광속을 넘기는 속도로 날아갔다면</p><p>혹은 날라가던도중 어느 시점에서 광속을 잠시 돌파한 구간이 있다면..</p><p>그 구간에서 차원이동을 하게되어 현재의 우주가 아닌 과거나 미래중 어느 한쪽으로 이동을<br />하지 않을까요?</p><p>그런 전파들이 종종 있다면..</p><p>아주 과거에 전송했던 전파가 미래로 간경우....</p><p>현재의 우리가 듣고있는 전파들중에도 간혹..미래와 현재 과거가 뒤섞인 전파를 전송받는 경우도 있지 않을까요?</p><p>영화에도있죠...미래와 과거인들이 무전기를 통해 이야기를 한다는 내용의 영화있죠.. ㅎㅎㅎ</p>

론건맨님의 댓글

사과향기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64, 64, 64); font-family: gulim, sans-serif; font-size: 13px; line-height: 22px;"><span class="highlight" style="margin: 0px !important; padding: 0px !important; background-color: rgb(255, 255, 0) !important; color: rgb(0, 0, 0) !important;">전파</span>를 쏠 때 처음에는 직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나중에 가면 공간으로 서서히 퍼지게 됩니다.</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64, 64, 64); font-family: gulim, sans-serif; font-size: 13px; line-height: 22px;">그리고 이건 3차원으로 볼 때..거리 R의 제곱에 비례해서 퍼지는 것이므로...</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64, 64, 64); font-family: gulim, sans-serif; font-size: 13px; line-height: 22px;">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64, 64, 64); font-family: gulim, sans-serif; font-size: 13px; line-height: 22px;">처음에 A란 크기로 쏘면 거리 R에 가면....그 <span class="highlight" style="margin: 0px !important; padding: 0px !important; background-color: rgb(255, 255, 0) !important; color: rgb(0, 0, 0) !important;">전파</span>의 세기는 A/R^2 에 비례하게 됩니다.</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64, 64, 64); font-family: gulim, sans-serif; font-size: 13px; line-height: 22px;">즉....거리가 멀어지면 멀어질 수록 특정 지점에서 받는 <span class="highlight" style="margin: 0px !important; padding: 0px !important; background-color: rgb(255, 255, 0) !important; color: rgb(0, 0, 0) !important;">전파</span>의 세기는 점차 약해지게 되는 것이죠.</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64, 64, 64); font-family: gulim, sans-serif; font-size: 13px; line-height: 22px;">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64, 64, 64); font-family: gulim, sans-serif; font-size: 13px; line-height: 22px;">그리고 너무 멀어지면....<span class="highlight" style="margin: 0px !important; padding: 0px !important; background-color: rgb(255, 255, 0) !important; color: rgb(0, 0, 0) !important;">전파</span>가 왔는지 안 왔는지 모를 정도로 그 크기가 미약해 지게 됩니다. 이걸 그냥 <span class="highlight" style="margin: 0px !important; padding: 0px !important; background-color: rgb(255, 255, 0) !important; color: rgb(0, 0, 0) !important;">소멸</span>한다고 표현하는 거구요....만약에 수신하는 쪽에서 성능 좋은 <span class="highlight" style="margin: 0px !important; padding: 0px !important; background-color: rgb(255, 255, 0) !important; color: rgb(0, 0, 0) !important;">전파</span> 탐지기를 갖고 있다면 좀 더 먼 거리에서도 <span class="highlight" style="margin: 0px !important; padding: 0px !important; background-color: rgb(255, 255, 0) !important; color: rgb(0, 0, 0) !important;">전파</span>를 잡을 수 있긴 합니다.</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64, 64, 64); font-family: gulim, sans-serif; font-size: 13px; line-height: 22px;">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64, 64, 64); font-family: gulim, sans-serif; font-size: 13px; line-height: 22px;">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64, 64, 64); font-family: gulim, sans-serif; font-size: 13px; line-height: 22px;">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64, 64, 64); font-family: gulim, sans-serif; font-size: 13px; line-height: 22px;">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64, 64, 64); font-family: gulim, sans-serif; font-size: 13px; line-height: 22px;">아래는 제 추정이긴 합니다만....</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64, 64, 64); font-family: gulim, sans-serif; font-size: 13px; line-height: 22px;"> </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64, 64, 64); font-family: gulim, sans-serif; font-size: 13px; line-height: 22px;">그런데..정말 극한으로 멀어지게 되면...<span class="highlight" style="margin: 0px !important; padding: 0px !important; background-color: rgb(255, 255, 0) !important; color: rgb(0, 0, 0) !important;">전파</span>가 가지는 최소 에너지가....입자가 가질 수 있는 최소 에너지 수준으로 낮아지게 될 겁니다. (여기부턴 잘 모르겠습니다.  이 때부턴 양자 역학이 들어갈 것인데....양자 역학을 발로 배워서...)</p><p style="margin: 0px; padding: 0px; color: rgb(64, 64, 64); font-family: gulim, sans-serif; font-size: 13px; line-height: 22px;">이 경우 확률적으로 나머지 구역에선 0, 특정 구역에서만 에너지를 가진 광자(포톤)이 전해질 것입니다....이 경우라면 엄밀히 말하면 <span class="highlight" style="margin: 0px !important; padding: 0px !important; background-color: rgb(255, 255, 0) !important; color: rgb(0, 0, 0) !important;">소멸</span>은 아니지만...대부분의 영역에서 <span class="highlight" style="margin: 0px !important; padding: 0px !important; background-color: rgb(255, 255, 0) !important; color: rgb(0, 0, 0) !important;">소멸</span>한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겁니다.</p>

사과향기님의 댓글

사과향기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p>아..감사합니다. 거리에 비례해서 서서히 소멸할수도 있는것이군요..<br />또한 광자...말씀하신것처럼 완전소멸은 아닐지도 모른다는 말씀 감사해용~</p><p>저의 생각도 전파도 형체가 없을뿐..분자, 원자 까지 쪼개다보면 분명 그 근원의 형태가 있을꺼란 생각을 하구요.</p><p>분명 그것을 붙잡을수있는 기술이 개발될지도 모르겠네요.</p><p>광자(포톤) 이라는 형체 혹은 물질을 잡아낼수있는 기술이나 장치만 있다면 </p><p>정말 과거, 현재, 미래..혹은 아주 먼 거리의 은하에서 지적생명체가 쓰고버린 떠도는 전파를 잡을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p><p>광자는 어떻게 보면 우주구성물질중 전체를 통틀어 근본이 되는 물질중 하나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구요.<br />그런거라면....우주공간에 떠돌고있는 수만은 광자들중에 전파적 성격 혹은 어떤 내용을 담은 전파의 내용을 추출할수있다면..</p><p>혹은 그 광자들간의 연결고리를 개발하여 첫번째 광자에 빛이나 전파를 쏘고 그 첫번째 광자물질에 인근해있는 다른 광자에 전송이되고 굴절되고 하여 순식간에 전 우주로 퍼질수있는 기술이 개발된다면...</p><p>우리 우주끝에서 반대편 끝으로 우리의 목소리를 전송하는데 몇초도 안걸릴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p><p>우주공간의 수많은 광자들 자체가 서로서로 네트워크화되어 전달하는 매개체가 된다는 생각인것이죠.</p><p>이만 저의 상상력~~~ 이었습니다.~~</p><p>우스갯 소리이지만..<br />예전에 어디선가 전파를 송신하는 아주 단순한 기계가 있는데 그것은<br />우리 지구에서 우주전역 어디든 즉시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통신기라고 들었던 기억이 있어요.<br />물론 진실인지 거짓인지는 모르겠지만..</p><p>우주 전역에 퍼져있는 가장흔한 재료들을 활용하여 그것에 전파를 싫어 우주 전역으로 퍼칠수있는<br />기술이 아닐까 하는 생각 잠시 해봅니다.~~</p>

마들역님의 댓글

사과향기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p>전파의 과다 사용 - 요거 심각한거 같습니다..</p><p>무선 통신이죠...일단 주로 핸드폰..TV...무전기..</p><p>전자파가 발생하구요..인체에 안좋다고 합니다..</p><p>벌들이 점점 줄어드는 이유하고...철새가 갑자기  방향을 못잡는게...</p><p>전파하고 연관이 있을 것 같아요..</p><p>지금도 여러분 주변으로 수많은 전파들이 왔다 갔다 합니다...</p><p>그 전파를 잡아서 내용을 확인할 수도 있겠네요...</p><p>텔레파시도 전파에 속할까요? </p>

론건맨님의 댓글

사과향기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9960|1--]오호?<div><br /></div><div>미래에 머릿속에 전자칩을 넣고 당신과 내가 무선통신을 하는거죠</div><div><br /></div><div>생각만으로.... 이게 바로 텔레파시~~ </div>

사과향기님의 댓글

사과향기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p>저는 개인저으로 텔레파시도 전파의 한 종류라고 생각해요~~</p><p>제가 위에서언급했던 통신방식이 텔레파시 아닌가 생각해보네요~</p>

Total 33건 1 페이지
자유 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비추천 날짜
33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4 0 0 02-29
32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3 0 06-04
31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2 0 04-11
30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39 1 0 06-04
29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39 1 0 07-15
28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60 0 0 05-15
27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60 0 0 03-07
26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69 0 0 05-11
25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77 1 0 09-11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66 0 0 05-16
23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62 0 0 12-20
22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56 1 0 11-01
21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17 3 1 08-07
20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95 5 0 08-18
19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94 1 0 09-13
18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94 1 0 05-31
17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86 10 0 06-08
16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86 5 0 09-04
15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86 4 0 10-10
14 사과향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85 4 0 05-13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구글 OTP 인증 코드 입력

디바이스에 앱에서 OTP 코드를 아래에 입력합니다.

OTP 를 잃어버렸다면 회원정보 찾기시 해지 되거나,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이메일 인증으로 해지 할수 있습니다.

OTP 해지하기

론건맨 상위 순위 10

  • 1 사라랜스403,301
  • 2 선상반란302,220
  • 3 eggmoney119,347
  • 4 샤논115,847
  • 5 nabool100,610
  • 6 바야바95,536
  • 7 차카누기94,253
  • 8 기루루88,907
  • 9 뾰족이87,735
  • 10 guderian008386,875

설문조사

론건맨 싸이트가 열리는 체감 속도는 어떤가요.?

설문조사

론건맨이 부활한 것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접속자집계

오늘
522
어제
2,473
최대
2,581
전체
14,288,668
론건맨 요원은 31,003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