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평가사, 디폴트 예측 능력 엉터리" > 자유 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자유 게시판

"신용평가사, 디폴트 예측 능력 엉터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기지상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926회 작성일 11-08-16 05:19

본문

"신용평가사, 국가 신용 평가 능력에 상당한 문제 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내린 이후 논란 대상이 된 국제 신용평가사들의 신용 평가 능력에 상당한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35년간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용평가사들이 디폴트(채무상환 불이행)에 빠졌던 국가의 신용등급을 실제 상황보다 높게 평가해왔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S&P는 1975년 이후 디폴트가 발생한 15개 국가 중 12개 국가에 대해 디폴트에 빠지기 1년 전까지도 B 등급 이상을 부여했다.

이는 부도 직전인데 부도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평가해 왔다는 의미이다. S&P의 신용등급 분류에 따르면 B 등급이 1년 이내에 디폴트에 빠질 가능성은 평균 2%다.

또 무디스도 디폴트에 빠진 13개 국가 중 11곳에 대해 디폴트가 발생하기 1년 전에 B 등급 이상을 부여했다.

특히 무디스로부터 B 등급 이상을 받은 국가 중 3곳의 신용등급은 1년 이내 디폴트 발생 가능성이 0.77%에 불과한 Ba였다.

신용평가사들은 이에 대해 "국가 신용등급은 특정 국가에 디폴트가 발생할 수 있는 실질적 확률이 아니라 다른 국가와 비교하는 상대적 평가를 의미한다"고 해명했다.

신용등급이 낮은 국가가 높은 국가에 비해 디폴트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얘기다.

그러나 채권ㆍ펀드 매니저들은 요즘처럼 시장의 변동성이 클 때에는 신용평가사들의 형편없는 신용등급 평가 능력을 믿을 수가 없다고 비난했다.

신용평가사들은 2008년에도 금융위기를 가져온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증권 등에 대한 신용등급 평가를 제대로 하지 못해 비난을 받았다.

한편, WSJ는 신용평가사들이 트리플 B(BBB) 등급 이상을 부여한 국가들은 긴 시간이 흘러도 디폴트와 관련한 큰 문제가 없었고 트리플 A(AAA), 더블 A(AA), 싱글 A 등급을 받고 나서 15년 이내에 디폴트에 빠진 국가도 없다고 덧붙였다.

Profile_%C0%CC%B1%E2%C1%F6%BB%F32.jpg

출처: Link site click.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32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sunjang.com.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