켐트레일 뿌리는 이유는? > 음 모 론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음 모 론

켐트레일 뿌리는 이유는?

페이지 정보

작성자 푸우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13건 조회 1,603회 작성일 04-07-02 21:50

본문

켐트레일 뿌리는 이유가 먼가요.자기들도 같이 지구에 살면서 해로운 켐트레일을 뿌리는 이유가 궁금합니다.떠도는 이야기나 가정,가설,추측 이라도 좋은니 알려주세요.켐트레일진위 여부 이야기는 많아도 목적이나 이유는 하나도 없던데.

[이 게시물은 선장님에 의해 2014-02-02 11:22:04 미스테리에서 이동 됨]
추천2 비추천0

댓글목록

윤용운님의 댓글

윤용운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음모론으로 알고있습니다. 그 컴트레일에는 각종 세균이나 화학물질이 있는데요..
제가 여기저기 둘러 본 결과 정신세뇌 비슷한거나 혹은 미국의 암암리의 우민화정책 혹은 세균퍼트리기..

서재옥님의 댓글

윤용운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그냥 비행운은 퍼지지 않고 조금있으면 하늘이 깨끗해집니다. 그러나 켐트레일은
넓게 퍼지며 안개비슷하게 공기가 탁해집니다. 사람들이 켐트레일이 지나가고 난뒤
기관지나 질병이 찾아와 음모론이 생긴걸로 압니다.

스위스님의 댓글

윤용운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컴트래일이 만약 화학실험이나 세균은 퍼트리기 위함이라하면 서울상공을 예를 들게되면 주요 인사들이 밀집해서 살고 있는데 그런 사람들이 이런 세균이나 화학물질에 노출이 된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대통령이나 주요인사들은 이런정보도 없이 도시상공에 이런 장난을 하는것은 모를리 없을겁니다. 컴트레일은 최소한 도시상공에 그런 유치한 장난은 하지 못할겁니다.

정해성님의 댓글

윤용운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우리가 주요인사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캠트레일 장난을 주도하는 이들에겐 별 의미없는 보통사람에 불과할수도 있겠죠.

장재득님의 댓글

윤용운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아토피 같이 현대에 나타나는 질병들의 원인일 될 수도 있고...
아니면 빅 브라더들만 알고 있는 나중에 일에 대비한 백신이 될 수도 있겠죠...
보통 포화상태에 이른 인구를 줄이기 위해 서서히 사람을 죽이는 약이라고 하지만...
어쨋든...백신이든 세균이든...기분이 좋진 않죠...

김평섭님의 댓글

윤용운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혹시.. 오존층이 많이 파괴되어 있어서 오존을 막을려고 하는것은 아닐까요?
너무 부정적으로 보는 견해가 심해서요

노재웅님의 댓글

윤용운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켐트레일은 인구조절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주로 전시에 많이 뿌리고 있으며, 지난 아프간과 미국의 전쟁때나 현 이라크전쟁때에도
다수의 캠트레인이 살포되었습니다.

뭐 월남 고엽제처럼 자국의 군인의 건강따위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http://taopia.com

함종호님의 댓글

윤용운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율이 세계최저라서 오히려 문제거리로 부각되고있는 판국에

인구조절을위해서 살포한다니요???

그러면 우리나라에는 살포할일이 없을듯 한데..

켐트레일을 왜 부정적으로만 보시는지..

정연오님의 댓글

윤용운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켐트레일을 뿌리는 사람들은 이미 그에 대한 면역(자기네들끼리만 공유하는 백신이라던가)을 지녔기 때문에 맘 놓고 뿌릴 수 있는게 아닐까요. 그렇기 때문에 함부로 뿌릴수 있다고 봅니다.

박동혁님의 댓글

윤용운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어떤 환경오염하에서도 살수 있는 신인류를 발견(혹은 육성)하기 위한 계획일지도..어디까지나 켐트레일이라는게 정말이라는 가정하에서지만...

Total 1,492건 20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sunjang.com.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