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의 유인원..다윈의 진화론에 의하면인간은 유인원(원쉥이에 가까운)의 진화로 서서히 직립보행이 가능해지며 양손이 자유로와지며지금의 인간이되고 인간사회를 만들수 있게 되었다고 하는 설과 신이 창조했다고 하는 창조론이 있지 않습니까?여러분들은 어느쪽이 더 신빙성이 있다고 생각하세요? 저는 창조론입니다.수메르 역사에서보면태양계의 행성중에 물이 상당량 이었던"티아맛"의 행성과의 충돌로인하여 지금의 지구와 달이 생겨났고니비루라는 행성에서 안(an)과 천계인간(네필럼) 아눈나키들을 데리고 지구로 왔다고 합니다. 유인원들의 …
-태양옆의 거대물체, 정체는?Nibiru 2012? real video (21.04.09)사진#01-(분석영상)nibiru What we see in the video?
PlanetX - Nibiru - 2012 - 20000 miles over the sea사진#01사진#02사진#03사진#04사진#05사진#06사진#07사진#08
사진#01 태양 주위에 있는게 니비루로 의심대는 것이구요...니비루와 크롭서클에 연관..?외국사이트 돌아다니다가 신기한 사진 있어서 올려봅니다 사진#02
니비루 그리드 (십자가형) [ 체커보드 뮤테이션 (니비루 십자가) ] 1) 니비루 NDC-그리드와 네트 (NDCG - NET – NCTN) 니비루, 플레이아데스-알시온, 시리우스-A, 안드로메다, 그리고 알파/오메가 센터우리의 아눈나키 인종들은 다음 두 가지의 장치를 BC 25,500년에 설치한 이래로 지구에서 점차적으로 근거지(stronghold)를 강화하게 되었습니다. i) 니비루의 정전기적 변환 장치 (NET) 및 ii) 스톤헨지의…
방금전 그런 생각이 들었네요 고대에 지구에서 파충류인에게 고통받던 인간들을 니비루인들이 다 쫒아냈다고 티벳의 서라는 책에 써있었다고 어제 여기 사이트에서 읽었는데, 제가 몇년전에 본 불교의 밀교관련 서적에 그런 비슷한 내용을 읽었었거든요 고대에 지구인들이 '용'이라는 태양계 미지의 행성에서 온 존재들한테 오랫동안 고통을 받으며 지배를 당했었다가, '빛의 전사'들에 의하여 구원을 받은적이 있다. 그 당시에 '빛의 전사'들에 의해 쫒겨난 용들은 지구속 심연 깊은곳에 아직까지도 봉인되어 있다. 여기서 말…
슈메르의 쇄기문자중 "*"모양을 하고 있는 문자가 있습니다. 이것은 슈메르의 최고의 신인 "아누(안)"를 의미하면서 동시에 일반적인 별을 가리키는 문자입니다. 초기에는 어떤 특정한 별을 의미하다가, 다음에는 일반적인 별을 의미하는 문자가 되었습니다. "아누" 혹은 "안"은 슈메르말로 하늘이라는 뜻입니다. 슈메르인들은 자신의들의 신이 하늘에서 왔다고 굳게 믿고 있었습니다. 에누마엘리쉬에는 마르두크가 티아마트를 무찌르고 난 뒤 그 피와 살로 땅을 창조했는데…
앞서의 글들에서 성서에 관한 이야기가 너무 많이 있었던 관계로, 약간의 오해가 있었던것에 대해, 불쾌하게 생각하신 분들이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그점은 죄송스럽습니다...... 성서의 역사를 짚어본 것은 창세기 특히 천지창조의 원형이 어떤 형태로 되어있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서였습니다. Z.싯친이 니비루에 대해 알게 된 것은, 원래 아브라함의 역사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얻게된 결론이었습니다. 삿친은 주된 해석의 대상을 토라(모세5경)와 외경을 위주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슈메르점토판이나 바빌론, 아카드문서등은 참고서로 설명하고 있습니…
앞서의 글에서 창세기와 에누마엘리쉬에 대한 부분을 올렸었는데, 창세기에 대한 현대성서의 번역은 그 내용이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가 상당히 모호하게 되어 있습니다. 에누마엘리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창세기 역시 성서에 대한 해석이나, 번역만 가지고 이것을 이해하는 것은 많은 오류가 있습니다. 여기서 잠시 성서의 기본적인 역사에 대해 기술하자면..... 현재의 우리가 읽고있는 성서는 실제로 그 원본은 없습니다. 다만 초기에 있었을지도 모르는 원본을 히브리어로 필사한 것을 사본이라 하고, 헬라어나 라틴어로 번역한 것을 번역본이라 합니…
이 내용은 특정종교에 대한 비방이나 부정을 목적으로 씌여진 글은 아닙니다. 만약 글을 읽으시고 다소 받아들이기 힘든 부분이 있다 하더라도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약성서의 창세기편은 많은 성서학자들에게 있어 가장 해독하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특히 그중에서 천지창조에 관한 내용 - 창세기1장 - 은 도저히 해석이 안되는 의문투성이의 글들이죠. 창세기는 크게 1. 천지창조 및 인간과 문화, 역사의 기원신화 (창 1장~5장) 2. 노아의 홍수 및 인간의 재창조 신화 (창 6장~10장) 3. 바벨탑과 아브라함족보 (창 11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