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Mars)의 지형사진 2" 는... > 화 성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화 성

"화성(Mars)의 지형사진 2" 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그대에게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댓글 2건 조회 1,333회 작성일 07-10-17 21:32

본문


우리나라좋은님의 좋은 자료를 보면서 다른 많은 부분을 생각할 수 있어서 참 감사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일전에 씨리즈로 올려주신 자료중 "화성의 도시사진"은 지금도 신기한 마음으로 들여다 보고있고요~

지금부터 말씀드리는 제 의견은 순전히 제 추측이며 우리나라좋은님의 자료에 딴지를 걸고자함은
절대 아니므로 이점 이해해주시길 바랍니다~~^^;;;


"화성(Mars)의 지형사진 2"는 물론 주변지형과 어울리지않는 지형임에는 틀림없지만
저 사진을 보는 순간 제 생각에는 있을 수 있는 지형이라고 여겼습니다.
즉, 자연적인 지형일 수 있다는 것이죠~

아래사진은 화성의 Valles Marineris 지형입니다.
(MOS image name M20-00944)
http이://i.blog.empas.com/gdeege2002/32767328_520x433.jpg

위의 지역중 화성탐사선 바이킹호가 촬영한 Valles Marineris의 일부입니다.
http이://i.blog.empas.com/gdeege2002/32767329_256x256.jpg

위 사진의 녹색 사각지역을 확대한 것이 바로 우리나라좋은님이 올리신 아래지형입니다.
위 사진에서는 밋밋하던 지역이 아래사진에서는 저렇게 요란한 지형으로 나타납니다.
아래 사진중 맨 아랫부분에 문제의 원뿔형지형도 보이는군요.
http이://i.blog.empas.com/gdeege2002/32767330_502x1436.jpg

아래 지형은 화성의 북쪽 Arabia Terra지역입니다.
(MOS image name M09-01114)
http이://i.blog.empas.com/gdeege2002/32769169_520x451.jpg

위 사진의 흰색 사각지역을 확대한 것이 아래지형입니다.
위 사진에서는 평탄하던 지역이 아래사진에서는 저렇게 요철이 심한 지형으로 나타납니다.
아래 사진중 이번엔 맨 윗부분의 원뿔대모양(Truncated cone) 지형을 유심히 보십시오.
http이://i.blog.empas.com/gdeege2002/32769170_520x1177.jpg

위의 두 독특한 형상의 지형을 나란히 비교한 사진입니다.
http이://i.blog.empas.com/gdeege2002/32769171_520x242.jpg

A지형 및 B지형이 주변의 지형에 비해 이상한 것은 사실이나
A가 이상하다면 B도 이상하겠지만 B는 dnpswl 자연적으로 보이는데 A만 이상하게 보인다면
이것도 이상한 생각일까요?

결론은 저는 저 두 독특한 지형이 화산지형의 일부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진#01

이러한 가정하에 A지형이 발생한 지질적 요인을 추정해보았습니다.

A사진의 원뿔은 비교적 조용하게 용암을 뿜어낸 결과 쇄설물이 차분히쌓여 화구가 거의 형성되지않았고
그 결과 아래 사진의 뉴질랜드 Egmont 화산처럼 원추형으로 생성된 지형이라 생각합니다.
Egmont 화산정상에 화구가 거의 보이지 않는군요.
즉, 거의 원추형입니다.
http이://i.blog.empas.com/gdeege2002/32769173_520x336.jpg

Egmont 화산을 사진A처럼 촬영한 위성사진입니다.
정상이 뾰족한게 A지형의 원추형 지형과 유사하지 않습니까?
http이://i.blog.empas.com/gdeege2002/32769174_520x481.jpg


마찬가지 가정하에 B지형이 발생한 지질적 요인 역시 추정해보았습니다.

B사진의 지형은 마그마로부터 분리된 가스가 급격히 팽창하여 압력이 증가되고
원추형으로 쌓인 쇄설물 윗부분을 파괴하면서 화산폭발을 일으킨 지형같습니다.
http이://i.blog.empas.com/gdeege2002/32769644_420x405.jpg

위 사진의 격렬한 과정을 겪고난 후 아래와 같은 지형이 되었겠지요.
아래사진은 아시다시피 제주도 동쪽에 위치한 성산일출봉이죠~
http이://i.blog.empas.com/gdeege2002/32769645_520x374.jpg

성산일출봉을 위성에서 본사진입니다
B사진의 원뿔대지형과 정상부가 완만하게 움푹들어간 모습이 서로 비슷하지 않습니까?
우연의 일치겠지만 B사진 전체지형을 보면 B지형도 과거엔 주변이 바다였었던 것 같군요.
http이://i.blog.empas.com/gdeege2002/32769646_520x370.jpg


이제 제 생각의 결론을 낼까 합니다~~

"이 원뿔 형태가 많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이러한 사구형태와는
완전히 틀린 주변지형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어떠한 원인에 의해 저러한 형태를 갖출 수 있을까요..."

즉, 저 A사진의 원뿔형지형이 다른 지역과 다르게 유달리 독특하냐하면
그것은 뉴질랜드의 저 Egmont화산이나 우리나라의 한라산이 주변의 평평한 지형과 관계없이
독특하게 혼자 원뿔형으로 위치하고 있는 것과 같은 지형적 이유가 아닐까요? ^^;


훗날 지구도 어떤 지질적 대변화가 닥치고 현재 화성의 환경과 같이 되어
물이 증발하고 침적된 규산화물이 바람을 만나 바다 바닥에 거대한 사구가 형성되면
저 A, B사진과 같이 되겠지요.
또한 저런 화산형지형은 생성시 바람의 영향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는 것은 당연한 일일테고요~


지금까지의 글은 제 추정이었습니다.
저 독특한 원뿔형지형이 인공적으로는 보이지않기에
한참 고민(?)하다가 이렇게 제의견을 표현해보았습니다~~^^

정말 지구가 화성처럼 황폐화되고 성산일출봉을 찍은 사진이
다른 천체에서 생활하던 미래의 론건맨요원에게 발견되었을 때....
아래사진처럼 주석을 달지는 않을까요............? ^^;;;
http이://i.blog.empas.com/gdeege2002/32771005_520x377.jpg
추천2 비추천0
Loading...

댓글목록

우리나라좋은님의 댓글

우리나라좋…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그대에게님 자료 잘보고 있습니다.

해석은 개인적으로 얼마든지 여러방향으로 볼수있기때문에 눈치보지 마시고
자유로이 해석하시길 원합니다.

그러나 그대에게님역시  NASA측 외부인 답변과 상당히 동일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말씀대로 지구에 빗대어 설명하신점과 유사하게 볼수있으나,
화성의 저 지역은 화산활동과는 거리가 멀다 할수있습니다.

Marineris Valles 는 로스엔젤레스 에서 뉴욕까지 되는 거리의 큰 계곡이며,
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하나 화산과 관련지어 설명하지는 않습니다.
화산활동이 그나마 최근에 일어난것은 올림푸스 화산입니다.
올림푸스 화산활동과 비교를 해보신다면 화성에서의 화산활동과 비교가 쉬우리라 봅니다.

위에 보여주신 이미지는 복합화산(Composite cone)이라 통상 칭합니다.
중앙의 화구로 부터 분출된 용암류와 화쇄류층이
교대로 쌓여있는 구조로 대칭적입니다.

비교적 원추형이라 할수있으나,
당연히 상당히 거친면을 가지고 있는것이 큰 특징이라 할수있겠습니다.

퍼져나온 화산쇄설물층 즉 용암류가 멀리 퍼져 흐르지 않고 ,
바른 원추형으로 뾰족하게 될 가능성은 설명이 가능할까요.
스케일에 비해 상당히 작은 크기, 협소하면서 높고 바른원추형 입니다.

바로 옆에 위치한 몇배큰 크레이터와 비교할때 어느것이 먼저 생성되었을까요.
또한 원뿔형태의 주변에 위치한 쓸려진 산들에 비해 손상없어 보이는것은 왜일까요.

주변에 위치한 Dune의 크기와 비교한다면 너무나 작지 않을런지요.

전체적인 스케일과 Dune을 생각해 보신다면 화산활동과는 무관하다는것을 알수있습니다.


무한자가님의 댓글

우리나라좋…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요원 작성일

      원추형 구조물의 둥그런 형태나 질감이 너무도 매끄럽고 반질반질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아무리 다시 봐도 자연적이라 보이지는 안네요..

 어느 분 말씀마따나 차라리 하늘에 UFO가 떠 있다고 보는 쪽이 더 나을 듯도 싶네요..

그리고 두 분이 올려주신 지형사진2를 확대해서 전체적으로 다시 보니
사진 곳곳에 광범위하게 에어브러쉬로 화면을 흐리게 처리한 것으로 의심되는
부분들이 보입니다.

(특히 그대에게 님이 올려주신 사진으로 보면 더욱 자세히 볼 수 있음.)

원래는 명암이 동일한 부분인데 좌우로 크게 붓질을 하여 자연적인 암석의 결처럼
보이도록 하려 한 흔적이 있고 또 어떤 부분은 노골적으로 뿌옇게 만들어 버린 곳도 보이는 거
같네요.

뿌옇게 처리된 부분의 속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인공성이 더욱 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죠.

사진에서 인공성이 돋보이는 부분을 그런 식으로 처리하여
얼핏 자연지형처럼 보이게 하려 한 흔적들이 아닌가 의심되네요..

제가 볼 때 크레이터를 중심으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인공성이 많이 보입니다.


*
과도한 주장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지구식의 틀을 벗어나 사고해 보자는 의미로 말씀드리자면..

저 사진에서 사막처럼 보이는 곳(파도 무늬가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거대한 암반처럼 보이는 지역들은 사실 건물들이 밀집된 거대한 도시로 볼 수는 없을지...

지구식의 건축 양식으로 볼 때는 당치도 않은 얘기겠지요.
하지만 화성의 건물들이 특이한 양식으로 되어 있다면
전혀 불가능한 사고는 아니라 보아지는군요.

그대에게 님이 엇그제 올려주신 크레이터와 연결된 도로 사진을 확대해 보면
화성 건축물이라 추정되는 구조물들의 독특한 양식을 비교적 근거리에서 볼 수 있는데,
 
그 양식에 눈이 익은 상태에서 지형사진2를 확대해서 보면 이제까지 무질서하게만
보이던 지형에 일정한 질서 패턴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죠. 

(이때 주의할 점은 사진상에 보이는 명암을 완전히 무시하고
동일한 명도를 가정하여 패턴만을 살펴야 됨. 눈을 현혹시키는 나사의 정교한 수정작업 때문에...)
 
 
그렇게 보면 이제까지 울퉁불퉁 불규칙해 보이는 자연 암반과 같은 모습에서
일정한 규칙성들이 보이게 됩니다.
(사진의 해상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픽셀 문제와는 상관없음.)

마치 건물들이 빽빽하게 밀집된 거대한 도시로 보이게 되죠.
(지구식의 간선도로가 쭉쭉 뻗은, 블록들이 분명히 구분되는 미끈한 도시형태는 아니지만...) 

혹시 착시 현상은 아닐까...
무척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그냥 사고의 틀을 확 바꾸어 생각해 보자는 취지로 말씀드리는 겁니다.

지구식의 도시를 찾으려는 노력 자체가 어쩌면 어리석은 시도일 수도
있기 때문에요...

그리고 화성의 도시가 눈 앞에 펼쳐져 있는데도 불구하고 못 보고 지나칠 수
수도 있기 때문에요...

Total 2,632건 27 페이지
화 성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비추천 날짜
2112 페페로가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1 2 0 03-25
2111 불타는필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95 2 0 04-03
2110 페페로가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6 2 0 04-05
2109 불타는필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34 2 0 04-11
2108
화성(Mars) 댓글+ 12
우리나라좋…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9 2 0 04-21
2107 아쇼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73 2 0 04-28
2106 그대에게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65 2 0 05-05
2105 그대에게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66 2 0 05-12
2104 그대에게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26 2 0 05-19
2103 지식탐험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24 2 0 05-29
2102 페페로가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57 2 0 06-13
2101 누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98 2 0 07-04
2100 룐건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8 2 0 07-31
2099 불타는필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66 2 0 08-30
2098 그대에게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51 2 0 09-30
2097 우리나라좋…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70 2 0 10-10
2096 우리나라좋…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4 2 0 10-10
2095 우리나라좋…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68 2 0 10-10
2094 우리나라좋…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29 2 0 10-11
그대에게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34 2 0 10-17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구글 OTP 인증 코드 입력

디바이스에 앱에서 OTP 코드를 아래에 입력합니다.

OTP 를 잃어버렸다면 회원정보 찾기시 해지 되거나,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이메일 인증으로 해지 할수 있습니다.

OTP 해지하기

론건맨 상위 순위 10

  • 1 사라랜스404,891
  • 2 선상반란302,220
  • 3 eggmoney119,707
  • 4 샤논115,847
  • 5 nabool100,990
  • 6 바야바96,046
  • 7 차카누기94,563
  • 8 기루루89,267
  • 9 뾰족이88,055
  • 10 guderian008387,185

설문조사

론건맨 싸이트가 열리는 체감 속도는 어떤가요.?

설문조사

론건맨이 부활한 것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접속자집계

오늘
1,098
어제
1,917
최대
2,581
전체
14,308,021
론건맨 요원은 31,004명입니다